홍술해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이조참의, 대사성, 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선(仲善)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22년(경종 2)
사망 연도
1777년(정조 1)
본관
남양(南陽)
주요 관직
집의|동부승지|이조참의|대사성|황해도관찰사
관련 사건
정조 시해 모의사건
정의
조선 후기에, 이조참의, 대사성, 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중선(仲善). 홍수제(洪受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행대사간(行大司諫) 홍우전(洪禹傳)이고, 아버지는 이조판서 홍계희(洪啓禧)이며, 어머니는 김취로(金取魯)의 딸이다. 홍계록(洪啓祿)에게 입양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50년(영조 26) 사마시에 합격해 진사가 되었다. 1759년(영조 35)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상시봉원도감(上諡封園都監)의 감조관(監造官)이 된 다음 정언·지평·수찬 등을 거쳐, 1761년 사간이 되었다.

1763년 북도감진어사(北道監賑御史)로 다녀와 병사 이방좌(李邦佐)의 탐학상을 보고하고 엄벌할 것을 건의해 양양(襄陽)에 10년 간 유배를 보냈다. 이어서 부응교·응교 등을 거쳐, 1764년 교리가 되었다.

그 뒤 승지를 거쳐 장연현안핵어사(長淵縣按覈御史)가 되어 민전(民田)을 강탈하고 이에 항의하는 민간인을 살해한 현감 이경춘(李景春)의 죄상을 조사하고 돌아왔다. 그 뒤 집의·동부승지 등을 역임하고, 1774년 이조참의가 되었다.

이어 대사성을 지내고, 이듬 해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다. 이 때 외지로부터 미곡(米穀)을 사들여오면서 1만 4,000냥(兩)을 몰래 빼돌린 사실이 해서찰민은어사(海西察民隱御史) 임희우(任希雨)에게 적발되어 파직되었다.

이어서 1776년(정조 즉위년)에 황해도관찰사로 재직 중 장전(臟錢) 4만냥, 조(租) 2,500석, 송목(松木) 260주(株)를 사취한 사실이 드러나 흑산도에 위리안치(圍籬安置: 죄인이 달아나지 못하도록 가시로 울타리를 만들고 그 안에 가두어 둠.)되었다.

이듬 해 아들 홍상범(洪相範)이 아버지의 치죄에 불만을 품고 홍인한(洪麟漢)·정후겸(鄭厚謙) 등 벽파(僻派)와 제휴, 정조를 시해하고 은전군 찬(恩全君禶)을 추대하려는 역모를 꾀하였다. 그러나 중간에 발각되어 아우 홍필해(洪弼海)·홍지해(洪趾海)·홍찬해(洪纘海) 및 조카 홍상간(洪相簡) 등과 함께 주살당하였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사마방목(司馬榜目)』
『속명의록(續明義錄)』
집필자
문수홍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