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전놀이 (놀이)

민속·인류
놀이
삼월 삼짇날 무렵에, 주로 여성들이 경치 좋은 곳으로 가서 벌이는 축제형 놀이.
이칭
이칭
화류(花柳), 회취(會聚), 꽃달임, 전화음(煎花飮)
내용 요약

화전놀이는 진달래가 피어나는 춘삼월에, 한 마을의 기혼 여성이 무리 지어 인근의 산천을 찾아 벌이는 집단적 놀이 활동이다. 화전놀이는 화류(花柳), 회취(會聚), 꽃달임 등으로도 불린다. 여성들은 화전(花煎)과 떡, 국수와 술 등 다양한 음식을 나누며 가무와 놀이를 즐겼다. 남성 중심의 사회 구조 속에서 이날만큼은 자유롭게 가무와 놀이 등을 즐길 수 있어, 화전놀이는 다수의 여성들이 기다리던 세시 행사 가운데 하나였다.

정의
삼월 삼짇날 무렵에, 주로 여성들이 경치 좋은 곳으로 가서 벌이는 축제형 놀이.
연원 및 변천

『교남지(嶠南誌)』(권4, 경주 산천조)에는 화절현(花折峴)이라는 고개가 나오는데, 신라의 궁인들이 봄놀이를 하며 꽃을 꺾은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같은 책 주3 조를 보면 김유신의 맏딸을 묻은 재매곡(財買谷) 근처에서, 꽃들이 만발하고 송화(松花)가 가득한 시기에 집안의 부녀자들이 모여 잔치를 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렇듯 오래된 화전놀이의 전통은 조선 전기에도 크게 다를 바 없이 이어졌다. 『조선왕조실록』(권7, 세조 3년 4월 22일(을묘))을 보면, 귀가(貴家)의 부인들이 진달래꽃[杜鵑花]이 필 때 집안의 며느리를 모아 잔치를 벌였는데, 이를 전화음(煎花飮)이라고 했다.

19세기 초 이후 화전놀이는 주4화전가(花煎歌)와 결합함으로써 전과 다른 양상을 보여 주었다. 특히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한 반촌(班村)의 여성들은 놀이의 경험을 화전가에 담아 공유함으로써, 화전놀이는 여성문학의 장으로서도 일정한 의의를 지니게 되었다.

그 뒤 20세기에 이르러 화전놀이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960년대까지 비교적 전통적인 형태를 유지하며 전승되다가 1970년대 이후 점차 봄맞이 관광과 같은 근대적인 여가 주5으로 대체되어 지금은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놀이의 절차 및 방식

진달래꽃이 필 무렵이면 마을의 여성들이 모여 놀이를 할 장소와 날짜를 정한 뒤 역할을 분담해 놀이를 준비했다. 놀이에 필요한 경비는 화전계(花煎契)가 있을 경우 그 기금으로 충당하고 없으면 각출(各出)해서 마련했다.

놀이 당일 아침이 되면 용모를 단장한 여성들이 모여 함께 놀이 장소로 이동하는데, 보통 마을에서 그리 멀지 않은 거리에 있는 주1가 수려한 곳이었다. 현장에 도착하면 진달래 꽃잎을 따와 화전(花煎)을 부치고 다른 음식도 장만했다. 푸짐한 먹거리가 마련되면 이를 먹고 마시면서 놀이판을 벌였다. 놀이판에는 춤과 노래가 따랐고 장기 자랑과 꽃싸움도 벌어졌다. 꽃싸움은 진달래의 주7을 서로 마주 걸고 당겨서 먼저 끊어지는 쪽이 지는 놀이인데, 때때로 편을 갈라 승패를 가르고 주2주8를 나누어 마시며 즐기기도 했다. 놀이판은 보통 해가 지기 전에 마감되었으며, 저녁 식사를 하기 전에 귀가하기 마련이었다.

의의 및 평가

화전놀이는 단순한 놀이가 아니었다. 가부장적 이념과 그 실천의 장인 집과 마을을 벗어나, 여성만의 연대 주10을 바탕으로 시집살이의 고충과 불만을 토로 · 공유하고 가무와 놀이를 즐김으로써 집단적으로 주11을 풀어 낼 수 있는 축제였다. 따라서 화전놀이는 여성 문화사의 흐름 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축제로 재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원전

『교남지(嶠南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삼국유사(三國遺事)』
『순오지(旬五志)』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단행본

권영철·주정원, 『화전가 연구』(형설출판사, 1981)
권영철, 『규방가사 각론(閨房歌詞 各論)』(형설출판사, 1986)

논문

김상일, 『화전가의 창작 동인과 구조 원리』(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한양명, 「화전놀이의 축제성과 문화적 의미-경북 지역을 중심으로」(『한국민속학』 33, 한국민속학회, 2001)
주석
주1

자연의 경치. 우리말샘

주2

상으로 주는 술. 우리말샘

주3

옛 문화를 보여 주는 건물이나 터.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부녀자가 짓거나 읊은 가사 작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영남 지방에서 널리 유행하였으며, 주로 시집에서 지켜야 할 몸가짐과 예절 따위를 내용으로 한 것으로 <계녀가>, <춘유가#GT#따위가 있다. 작자와 연대를 알 수 없다. 우리말샘

주5

일이 없어 남는 시간에 하는 모든 활동. 우리말샘

주7

꽃의 수술과 암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 꽃의 생식 기관으로서 꽃의 중심을 이룬다. 우리말샘

주8

벌로 먹이는 술. 우리말샘

주10

여럿이 함께 무슨 일을 하거나 함께 책임을 지려는 의식. 우리말샘

주11

흥겨운 신이나 멋.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