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학청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 원자(元子)나 원손(元孫)의 조기 교육을 위하여 설치한 임시 관서.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 후기
내용 요약

강학청(講學廳)은 원자나 원손의 조기 교육을 위해 설치한 임시 관서이다. 원자와 원손을 잘 보필하고 교육함으로써 훗날의 정국 안정을 꾀하고자 설치되었는데, 간혹 권력관계에서 주도권을 장악하는 방편이 되기도 했다. 강학관으로는 학문이 뛰어난 고위 관료들이 임명되었으며, 나이 어린 원자와 원손이 기초적인 한자를 익히고 덕성을 함양하는 선에서 교육이 이루어졌다.

정의
조선 후기, 원자(元子)나 원손(元孫)의 조기 교육을 위하여 설치한 임시 관서.
설치 목적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세자에 책봉되기 이전의 어린 원자(元子)나 원손(元孫)을 주11하고 교육하기 위해 강학청(講學廳)을 설치하였다. 대체로 3세 이전에는 양육을 위한 보양청(輔養廳)을 두었다가 원자 · 원손이 글을 읽기 시작할 무렵에 강학청을 두어 유교 경전, 역사서 등을 가르쳤다. 그리고 훗날 세자에 책봉되면 주1, 세손에 책봉되면 주9에서 교육하였다.

변천 사항

조선 건국 초에는 원자의 교육 기관이 독립적으로 설치되지 않았고, 원자부(元子府)를 두어 주6주7 등을 포함하는 제반 업무를 담당하였다. 그리고 원자가 세자에 책봉되었을 때 원자부가 그대로 세자부(世子府)로 활용되기도 했다. 1402년(태종 2)에 원자 제(禔)를 위해 경승부(敬承府)를 설치했는데, 1404년(태종 4)에는 원자가 세자(世子)에 책봉되면서 그 명칭 그대로 세자부로 기능하였다.

원자 교육과 관련해서 보양관(輔養官), 강학관(講學官)을 둔 사례들도 확인된다. 1518년(중종 13)에 재상들에게 원자 보양관(元子輔養官)을 겸임시켜서 원자를 보필하고 교육하였고, 1605년(선조 38)에는 8살의 원손을 교육하고자 송석경(宋錫慶) · 이극신(李克信)이 강학관에 임명되었다. 1624년(인조 2)에는 공조참의 김장생(金長生)에게 원자의 강학관을 겸하도록 하였다.

원자의 강학을 위해 강학청이라는 이름으로 관서가 운영된 시기는 분명치 않은데, 『인조실록』에서 처음으로 관서 명칭이 확인된다. 하지만 그 후 강학청이 운영된 사례가 많지는 않았던 듯하다. 강학청에서 교육한 내용과 원자와의 문답이 『강학청일기(講學廳日記)』에 기록되어 있는데, 현재 숙종, 순조, 완화군(完和君 : 고종의 서장자)의 『강학청일기』가 전해지는 정도이다.

운영 사항

현종 때 5세의 원자(훗날의 숙종)를 위해 강학청이 설치되었던 사례를 주목해 볼 수 있다. 1665년(현종 6)에 원자 보양관의 주12을 재정비하여 강학청을 운영하도록 하였고, 원자와 보양관의 상견례와 보양관에게 지급되는 주3 등과 관련된 주4도 마련하였다.

강학관에 임명되는 관료는 원자의 경우에는 정1품∼종2품 3인, 원손의 경우에는 종2품∼정3품 당상관 3인이었다. 특별히 학문에 뛰어난 사람을 강학관에 임명하기도 했다. 그 밖에 서책 담당 서리(書吏) 4인, 주13 1인, 사령 4인, 수공(水工) 1인을 시강원의 예에 따라 임명하였다.

강학청에서는 기초적인 한자 교육이 주가 되었는데, 글자를 하나하나 짚어 가면서 강(講)을 하였다. 교재로는 『천자문(千字文)』, 『효경대의(孝經大義)』, 『동몽선습(童蒙先習)』, 『소학(小學)』, 『십구사략(十九史略)』 등을 활용했다. 강학은 이틀에 한 번 정도 행하되 주요 행사가 있거나 원자가 아픈 경우는 강학을 쉬기도 했다. 대체로 주8 정각(오전 10시)에 1명의 관원이 입시하여 강학하였으며, 새로운 내용을 배우기 전에 지난 시간에 배운 부분을 뒤돌아 암기하는 주10부터 하였다. 그런 다음에 강학관이 당일 진도에 해당하는 문구를 소리 내어 읽어 주면 원자가 반복하여 따라 읽었고, 마지막으로 그날 배운 내용을 배송한 뒤에 마무리하였다. 하루 학습 진도는 어린 원자를 배려하여 15자에서 30자 정도의 한 문장을 강학하는 수준이었다.

의의 및 평가

조선의 국왕은 백성의 모범이 되어야 했으므로, 향후 왕위를 계승하게 될 원자 · 원손의 교육은 매우 중요했다. 다만 강학청은 조선 후기에 설치되기 시작하였고, 상설 기구가 아니라 원자 책봉 이후 보양과 교육을 위한 임시 기구로서 기능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인조실록(仁祖實錄)』
『숙종강학청일기(肅宗講學廳日記)』

논문

김은정, 「『肅宗講學廳日記』를 통해 본 元子 보양 및 교육의 실상과 의미」(『奎章閣』 33,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의 유아교육」(『東洋古典硏究』 32, 동양고전학회, 2008)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세자시강원ㆍ왕태자시강원ㆍ황태자시강원을 통틀어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3

관아의 원역들에게 급료로 주던 무명이나 베. 우리말샘

주4

법률이나 규정 따위의 낱낱의 조나 항. 우리말샘

주6

학문을 닦고 연구함. 우리말샘

주7

임금이나 어떤 모임의 우두머리를 모시어 호위함. 또는 그런 사람. 우리말샘

주8

십이시(十二時)의 여섯째 시. 오전 아홉 시부터 열한 시까지이다. 우리말샘

주9

조선 시대에, 왕세손의 시강(侍講)을 맡아보던 관아. 세종 30년(1448)에 두었다가, 고종 31년(1894)에 없앴다. 우리말샘

주10

책을 스승 앞에 펼쳐 놓고 자기는 보지 아니하고 돌아앉아서 욈. 우리말샘

주11

잘 보호하여 기름. 우리말샘

주12

관아의 출입문. 우리말샘

주13

조선 시대에 둔, 육주비전에 속한 하공원. 우리말샘

주14

남의 글월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공손히 읽음.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