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평전투 ()

고려시대사
사건
1216년(고종 3), 고려군이 거란군과 개평역에서 벌인 전투.
이칭
이칭
개평역전투(開平驛戰鬪)
사건/전쟁
발발 시기
1216년(고종 3)
종결 시기
1216년(고종 3)
발발 장소
개평역
관련 단체
거란 유종
관련 인물
김취려
내용 요약

개평전투는 1216년(고종 3)에 고려군이 거란군과 개평역(開平驛: 현 평안북도 영변)에서 벌인 전투이다. 이때의 거란군은 1216년(고종 3)에 몽골군과 한 싸움에서 패해 새로운 생활 근거지를 찾기 위해 고려로 침입을 감행한 거란 유종(契丹遺種)의 군대였다. 개평역은 북계(北界) 연주(延州: 현 평안북도 영변) 소속의 역이었다. 이 전투에서 크게 활약한 인물이 김취려(金就礪)였고, 이 전투에서 고려군이 승리하면서 거란군의 기세를 크게 꺾었다.

정의
1216년(고종 3), 고려군이 거란군과 개평역에서 벌인 전투.
배경

1212년(강종 1)에 거란[契丹]족 출신인 야율유가(耶律留哥)가 금나라에 반기를 들고 일어나 융안(隆安: 현 만주 농안 부근)에 자리잡았는데, 그 무리가 10만이 넘었다. 야율유가는 한때 도원수(都元帥)로 추대되어 요왕(遼王)으로 불렸으나, 몽골 제국의 태조인 칭기즈칸을 받들게 되어 그의 지위는 동생인 야율사포(耶律斯布)에게 넘어갔다. 이어 야율사포가 그의 부하에게 피살당하자 승상 주2가 무리를 이끌고 스스로 주5이라 칭하고 거란 부흥 운동을 일으켰다. 그러나 몽골에 항복했던 야율유가가 몽골군의 선봉장이 되어 걸노를 공격하자, 걸노는 9만의 군대를 이끌고 고려를 침입하게 되었다. 이것이 고려 후기에 고려와 거란 사이에 일어난 최초의 충돌이었다.

경과 및 결과

1216년(고종 3)에 거란군은 압록강을 건너 대부영(大夫營)으로 진격하였는데, 그들은 고려의 북계병마사(北界兵馬使)에게 사람을 보내 말하기를 “군량을 주면 주3를 침범하지 않을 것이며, 뒷날 황기(黃旗)를 세워 놓으면 나와서 황제의 조칙(詔勅)을 들어라.”라고 하였다. 고려가 이에 응답하지 않자 그들은 영주(寧州: 현 평안북도 안주), 삭주(朔州: 현 평안북도 삭주) 등의 여러 진(鎭)을 공격하여 재물과 곡식 등을 빼앗아 갔다.

이에 고려 조정에서는 노원순(盧元純) · 오응부(吳應富) · 김취려(金就礪)를 각각 중군 · 우군 · 후군의 병마사로 삼아 거란군을 막게 하였다. 같은 해 9월에 적이 청천강 방면으로 침입하자 조양진(朝陽鎭: 현 평안남도 개천)에 주둔하고 있던 고려군은 이를 격파하고, 이어 연주(連州: 현 평안남도 개천), 창주(昌州: 현 평안북도 창성), 구주(龜州: 현 평안북도 구성) 등 각지에서 거란군을 물리쳤다. 이후 장군 이양승(李陽升)이 장흥역(長興驛)에서 적을 공격하자 적이 창주에서 연주(延州)의 개평역(開平驛: 현 평안북도 영변)과 원림역(原林驛)으로 옮겨 주둔하였는데, 종일토록 행렬이 이어졌다.

고려군은 진군하다가 연주(延州)에 머물렀는데 고려는 주4이 도착하였음에도 감히 전진하지 못하다가, 후군의 김취려가 장군 기존정(奇存靖)과 더불어 적군의 포위를 돌파하면서 적군을 치니 거란군이 무너졌다. 뒤이어 김취려가 적을 추격하여 개평역을 지나자, 역의 북쪽에 매복해 있던 거란군들이 급히 중군을 기습하였다. 이에 고려 군사들이 거란군과 맞서 싸워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이는 고려군과 거란군 간의 전투 중에서 최초의 대규모 전투이며, 고려군이 이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거란군의 기세를 크게 꺾었다.

의의 및 평가

개평전투 이전에 고려군은 거란군과 한 전투에서 대개 변방의 소규모 전투에서만 승리한 적이 있었을 뿐 큰 주1는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 전투부터는 규모가 커지고, 고려군이 조직적으로 전투에 참여하면서 이 전투는 거란군이 소탕되기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김상기, 『고려시대사』(동국문화사, 1961)
한국중세사학회, 『13세기 고려와 김취려의 활약』(혜안, 2011)

논문

신안식, 「고려 고종 초기 거란 유종의 침입과 김취려의 활약」(『한국중세사연구』 30, 한국중세사학회, 2011)
이상문, 「김취려」(『군사』 11,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5)
주석
주1

전투나 경기 따위에서 올린 성과. 우리말샘

주2

거란 유민의 추장(?~?). 야율유가가 인솔하는 몽고군에게 쫓겨 고려로 쳐들어왔으나, 고려의 후군 병마사 김취려에게 대패하여 묘향산으로 달아나다 죽었다. 우리말샘

주3

나라의 경계 안에 있는 땅. 우리말샘

주4

고려 시대의 군 체제. 초기에는 전군(前軍), 후군(後軍), 좌군(左軍), 우군(右軍), 중군(中軍)의 오군(五軍)으로 두었다가 전군, 후군을 없앤 것이다. 나중에 다시 오군으로 환원하였다. 우리말샘

주5

옛날 중국(中國)에서 왕이 국외(國外)로 나갔을 때 서울에 남은 태자(太子)를 일컫던 말. 바로가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