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관수도 ()

목차
관련 정보
고사관수도 / 강희안
고사관수도 / 강희안
회화
작품
조선 전기의 문신 강희안(姜希顔)이 그린 산수인물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강희안(姜希顔)이 그린 산수인물화.
내용

종이 바탕에 수묵. 세로 23.4㎝, 가로 15.7㎝.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그림의 왼편 가장자리 상단부에 ‘仁齋(인재)’라는 강희안의 호를 새긴 백문방인(白文方印)이 찍혀 있다.

이 그림은 덩굴과 깎아지른 듯한 절벽을 배경에 두고 바위에 기대어 엎드린 자세로 물을 바라보고 있는 선비의 유유자적한 모습을 담고 있다. 이 그림은 중국 북송대(北宋代) 회화의 영향을 토대로 발전된 안견파(安堅派) 화풍이 크게 풍미하고 있던 당시로서는 색다른 경향의 화풍을 보이고 있다 하겠다.

산수의 조그마한 한 부분을 배경으로 한 인물 중심의 구성이라든가 근경 위주의 대담한 변각 구도(邊角構圖)와 공간감의 결여 등은 조선 중기에 유행하였던 절파계(浙派系) 소경산수인물(小景山水人物) 화풍의 선구적인 요소로 간주된다.

흑백 대비가 심한 묵법과 자유분방하게 가해진 준찰(皴擦), 날카롭고 간결하게 처리된 옷주름 선과 헝클어진 모습의 덩굴 등도 원대(元代)의 선종수묵화풍(禪宗水墨畫風)과 더불어 절파 양식의 경향과 상통되고 있다.

그러나 이 그림은 활달하면서도 세련미 넘치는 필치와 더불어 짙은 문기(文氣)를 풍기고 있다. 그래서 화원(畫員)이나 직업 화가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중국 절파풍의 작품과는 격조를 달리하는 화격(畫格)을 보이고 있다.

이 <고사관수도>의 화풍은 조선시대 중기에 이르러 함윤덕(咸允德)의 <기려도 騎驢圖>를 비롯하여 이경윤(李慶胤) · 김명국(金明國) 등의 절파계 화가들의 소경산수인물 화풍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한국회화사』(안휘준, 일지사. 1980)
「한국절파화풍의 연구」(안휘준, 『미술자료』 20, 국립중앙박물관, 1977.6.)
「인재 강희안의 고사관수도연구」(홍선표, 『정신문화연구』 27, 1985.겨울.)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