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승 ()

고대사
인물
고구려 영양왕대의 장군.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내용 요약

고승은 고구려 영양왕대의 장군이다. 603년 영양왕의 명을 받아 신라 북한산성 공격에 출전하였다. 신라 진평왕이 구원군 1만 명을 이끌고 한강을 건너오자 중과부적으로 여기고 퇴각하였다. 603년 고승의 북한산성 공격은 신라의 북진을 차단하고 나아가 수-신라의 연결을 견제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정의
고구려 영양왕대의 장군.
가계 및 인적 사항

고승(高勝)의 가계와 생몰연도는 분명하지 않다.

주요 활동

고구려는 603년(영양왕 14) 영양왕(嬰陽王)의 명으로 신라의 북한산성(北漢山城)을 공격하였다. 이때 고승은 장군이었다고 하였다. 장군은 전시의 야전군 사령관으로 제5관등인 조의두대형(皁衣頭大兄) 이상이 맡았던 것으로 보인다. 고승이 공격한 북한산성은 지금의 서울 광진구 아차산성으로 파악된다. 아차산성은 한강의 수로 교통로가 교차한 전략적 요충지로, 지표 및 시굴 조사를 통해 ‘북(北)’, ‘한(漢)’, ‘한산(漢山)’ 등의 명문이 주1된 기와 등이 출토되었다.

고승의 북한산성 공격에 대해 신라에서는 진평왕이 출전해 구원하였다. 진평왕은 직접 군사 1만 명을 이끌고 한수(漢水)를 건넜는데, 이에 북한산성 안에서는 북을 치고 떠들썩하게 하며 서로 호응하였다. 그러자 고승은 신라 군사의 수가 고구려 군사의 수보다 많으므로 이기지 못할 것으로 여기고 퇴각하였다. 603년 고구려의 북한산성 공격은 신라의 북진을 차단하고, 신라와 수의 연결을 견제하는 데 목적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때부터 고구려는 남방 정책에 한층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신라 역시 604년 남천주(南川州)를 폐지하고 다시 북한산주(北漢山州)를 설치한 데서 드러나듯 한강 유역에 대한 방어를 더욱더 강화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

단행본

김진한, 『고구려 후기 대외관계사 연구』(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장창은, 『삼국시대 전쟁과 국경』 (온샘, 2020)
장창은, 『고구려 남방 진출사』(경인문화사, 2014)

논문

윤성호, 「『三國史記』 溫達傳 所載 阿旦城의 위치에 대한 재검토」 (『韓國史學報』 66, 2017)
황보경, 「603년 北漢山城 전투 고찰」 (『한국사학보』 58, 2015)
서영일, 「아차산성 주변의 고대 성곽과 교통로」 (『사총』 81, 2014)
여호규, 「6세기 말~7세기 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고구려 대외정책의 변화」(『역사와 현실』 46, 2002)
주석
주1

오른쪽과 왼쪽이 바뀌어서 된 글자. 뒤집어 보아야 제대로 보인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