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도하가 ()

고전시가
작품
창작연대 미상의 고대가요.
이칭
이칭
공후인
정의
창작연대 미상의 고대가요.
구성 및 형식

이름 모를 백수광부(白首狂夫)의 아내가 지었다고 한다.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지만, 그 한역(漢譯)인 「공후인(箜篌引)」이 진(晋)나라 최표(崔豹)의 『고금주(古今注)』에 설화와 함께 채록되어 있다.

이 노래와 설화를 최초로 수록한 책은 후한(後漢)말 채옹(蔡邕)이 엮은 『금조(琴操)』이지만 『고금주』가 널리 알려져 있다. 그것을 조선시대 문인들이 『해동역사(海東繹史)』·『대동시선(大東詩選)』·『청구시초(靑丘詩抄)』·『열하일기(熱河日記)』 등에 옮겨 전하기도 한다. 노래는 다음과 같다.

임이여 물을 건너지 마오.(公無渡河)

임은 결국 물을 건너시네.(公竟渡河)

물에 빠져 죽었으니,(墮河而死)

장차 임을 어이할꼬.(當奈公何)

이본(異本)에 따라서는 제2구의 ‘竟’(경)이 ‘終’(종)으로, 제3구의 ‘墮河’(타하)가 ‘公墮’(공타) 또는 ‘公淹’(공엄)으로, 제4구의 ‘‘當’(당)이 將’(장)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도 있다.

내용

최표의 『고금주』에 기록된 이 노래의 배경설화는 다음과 같다. 공후인은 조선(朝鮮)의 진졸(津卒) 곽리자고(霍里子高)의 아내 여옥(麗玉)이 지은 것이다. 자고(子高)가 새벽에 일어나 배를 저어 가는데, 머리가 흰 미친 사람이 머리를 풀어헤치고 호리병을 들고 어지러이 물을 건너고 있었다. 그의 아내가 뒤쫓아 외치며 막았으나, 다다르기도 전에 그 사람은 결국 물에 빠져 죽었다.

이에 그의 아내는 공후(箜篌)를 타며 ‘공무도하(公無渡河)’의 노래를 지으니, 그 소리는 심히 구슬펐다. 그의 아내는 노래가 끝나자 스스로 몸을 물에 던져 죽었다.

자고가 돌아와 아내 여옥(麗玉)에게 그 광경을 이야기하고 노래를 들려주니, 여옥이 슬퍼하며, 곧 공후로 그 소리를 본받아 타니, 듣는 자가 눈물을 흘리지 않는 이가 없었다. 여옥은 그 소리를 이웃 여자 여용(麗容)에게 전하니 일컬어 공후인이라 한다.

현황

이 노래는 채록자·채록양식·창작지역 등이 중국이라는 점에서 중국의 작품이라는 견해가 대두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창작지역인 중국의 직례성 조선현(直隸省 朝鮮縣)이 고조선 이래로 한인(韓人)들이 잔류하면서 독자적인 문화양식을 유지하던 곳이어서, 「공무도하가」의 원작자가 반드시 중국 사람이라고 이야기 할 수 없다.

즉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원작자는 충분히 우리나라 사람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러한 점에서 「공무도하가」를 우리의 고대가요로 보는 데에는 별 문제가 없다.

오히려 중국 쪽에 이런 노래가 전해지고 기록된 것은 우리 노래가 그만큼 널리 전파되어 있었던 증거라고 보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이다.

「공무도하가」는 관련된 사연이 특이해서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키기도 했다. 관련설화는 고조선시대에 백수광부와 그의 처를 주인공으로 하는 비극적 사건을 담은 단순설화가 초기 형태였을 것이다.

이것이 후대에 이르러 곽리자고와 여옥이 개입하여 복합설화로 변화된, 「공후인」 악곡의 설명설화로 보는 것이 온당할 것이다.

의의와 평가

설화 속의 백수광부의 죽음에는 경험과 초경험의 연속성이 여전히 세계 해석의 중심 기반에 놓인 주술적·신화적 세계관이 투영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아내의 죽음에는 경험적 현실이 오히려 세계 이해의 중심문제로 떠오르는 불연속성에 기초한 현실적·역사적 세계관에 강하게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노래를 둘러싼 설화문맥은 노래 형성기의 이중적인 세계인식이나 전환기의 사유를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공무도하가」의 주제는 설화문맥에서 본 바와 같이 ‘임의 죽음에 대한 슬픔’이며, 중심소재는 ‘강’ 또는 ‘물’이다. 이 노래가 세계에 대한 근원적 물음으로서 중대한 의미를 갖는 ‘죽음’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은 고대가요로서 이 노래가 지닌 의의가 매우 크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이 노래는 죽음을 철저히 경험적 현실의 문제로 받아들이는 아내의 비극적 의식을 극적 독백화법으로 표출하고 있다. 따라서 노래에 나타난 미의식은 비극미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이 작품에서 ‘현실적인 것’은 남편의 익사이며, ‘이상적인 것’은 남편이 강물에 빠져 죽어서는 안 된다는 신념이다.

그러나 작품의 실제 어조(語調)에서는 후자에의 신념을 처음부터 포기한 상태에서, 즉 ‘이상적인 것’에 대한 지향이 애초부터 열세한 상황에서 ‘현실적인 것’에 대한 저항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상적인 것’이 불리한 상황에서 불리한 쪽을 추구한다는 것은 비극적 갈등일 수밖에 없고, 그 결과는 ‘현실적인 것’으로 인한 깊은 상처 내지는 파멸만 남을 뿐이다. 따라서 이 작품에 구현된 미(美)는 신화적 숭고 내지는 주술적 숭고의 파탄으로 초래된 비극미라 할 수 있다.

「공무도하가」에 표출된 이러한 동일성의 상실은 세계의 연속성에 대한 믿음의 상실에서 비롯된 한국 서정시의 출현 문제와 직접 잇닿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이 노래가 신화적 질서 혹은 주술적 힘의 숭고함이 이미 흔들리기 시작한 신화시대 말기의 사회상과 세계관을 반영하는 작품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고 하겠다. 이럴 때 신적(神的) 인물의 신성성이 의심된다던가 주술능력이 실패한다던가 할 경우는 비극적인 파멸의 길을 걷지 않을 수 없다는 사실을 이 가요는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문학개론(韓國文學槪論)』(김승찬·김준오 외, 삼지원, 1995)
『한국문학개론(韓國文學槪論)』(성기옥 외, 새문사, 1992)
『증보판 한국고전시가론』(정병욱, 신구문화사, 1988)
『한국고전시가(韓國古典詩歌)의 연구(硏究)』(김학성, 원광대학교출판국, 1980)
『국문학논고(國文學論攷)』(서수생, 문리당, 1965)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의 성격(性格)과 의미(意味)」(정하영,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1992)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의 해석」(김성기,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공후인의 신고찰」(김학성, 『관악어문연구』 3, 서울대학교, 1978)
「공후인이고」(최신호, 『동아문화』 10집,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971)
「공무도하가소고(公無渡河歌小攷)」(양재연, 『국어국문학』 5, 1953)
집필자
김학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