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암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강세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3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강세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853년(철종 4) 그의 증손 승형(昇馨)과 족손 연영(連永)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연영과 승형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312수, 만(輓) 43편, 권3에 소 2편, 서(書) 9편, 권4에 책(策) 1편, 서(序) 1편, 기 3편, 발 1편, 제문 9편, 뇌문(誄文) 1편, 유사 1편, 권5는 부록으로 명 1편, 행장 1편, 묘갈명 1편, 제문 29편, 뇌문 1편, 만사 67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 중 「사장령소(辭掌令疏)」에서는 임금은 나라의 근본이므로 늘 경연(經筵)에 들러 옛사람의 교훈을 자주 접하여 심기를 바르게 하고 언로를 넓혀서 민생들의 질고(疾苦)를 들어주며 수령의 고과를 분명히 할 것과 과규(科規)를 밝힐 것 등을 주장하였다. 또한, 당시의 쇠퇴해가는 국운을 회복할 것을 바라는 그의 애타는 심정이 잘 나타나 있다.

서(書)의 「상입재선생(上立齋先生)」의 「의의문목(疑義問目)」과 「상례문목(喪禮問目)」 2편에서는 성리설의 심(心)과 기(氣)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이밖에도 「삼정책(三政策)」에서는 군포(軍布)·전부(田賦)·조곡(糶穀) 등의 불공평함을 열거, 지적하며 구태의연한 것을 답습하기보다는 좀 더 현실화할 것을 논하면서, 국민이 잘 살지 못하고 있는데 나라가 부강할 수 없다고 하였다.

집필자
이현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