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원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이조전랑, 우의정,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인백(仁伯)
성암(省菴)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42년(중종 37)
사망 연도
1590년(선조 23)
본관
선산(善山)
주요 관직
병조좌랑|지평|이조전랑|우의정|이조판서
정의
조선 전기에, 이조전랑, 우의정,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인백(仁伯), 호는 성암(省菴). 김수현(金秀賢)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전생서직장 김덕유(金德裕), 아버지는 영유현령(永柔縣令) 김홍우(金弘遇), 어머니는 윤은좌(尹殷佐)의 딸이다. 조식(曺植)·이황(李滉)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64년(명종 19) 진사가 되고, 1565년 알성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병조좌랑·정언·지평 등을 역임했다. 1573년(선조 6)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1574년 다시 지평을 맡았다.

명종 말 문정왕후(文定王后)가 죽은 뒤 척신계(戚臣系)의 몰락과 더불어 새로이 등용되기 시작한 사림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1572년 오건(吳健)이 이조전랑(吏曹銓郎)에 추천했으나, 사림으로 척신 윤원형(尹元衡)의 문객이었다는 이유로 이조참의 심의겸(沈義謙)이 반대하는 바람에 거부당했다.

그러나 1574년 조정기(趙廷機)의 추천으로 결국 이조전랑이 되었다. 1575년 심의겸의 동생 심충겸(沈忠謙)이 이조전랑으로 추천되자, 전랑의 관직은 척신의 사유물이 될 수 없다는 이유로 이를 반대하고 이발(李潑)을 추천했다.

이러한 일을 계기로 심의겸과의 반목이 심해지면서, 사림계는 동인과 서인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즉, 훈신(勳臣)·척신들에 의한 정치 체제의 개혁을 둘러싸고 선조 즉위 직후부터 전배(前輩)와 후배(後輩)의 대립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척신 정권 때 정계에 진출해 심의겸의 도움을 받은 사림이 전배이고, 소윤의 몰락 이후 심의겸과 무관하게 정계에 진출한 부류가 후배로, 이들 후배 사림은 심의겸의 척신적 처지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이러한 대립은 이조전랑 추천과 임명을 둘러싼 대립을 계기로 점차 심화되어, 심의겸을 중심으로 한 전배는 대부분 서인이 되고, 김효원을 중심으로 한 후배는 동인이 되었다. 김효원의 집이 동부의 건천동(乾川洞)에 있다고 해서, 그 일파를 동인이라 불렀던 것이다.

두 사람의 대립이 점차 심해지자, 우의정 노수신(盧守愼), 부제학 이이(李珥) 등이 분규의 완화를 조정하고자 두 사람 모두 외직으로 내보낼 것을 건의해, 심의겸은 개성부유수로, 김효원은 경흥부사로 나갔다.

그러나 김효원을 지지하는 후배들은 축출한 것이라 반발해 다시 부령부사로 옮기게 했다. 그러나 이 역시 부령이 변방이라고 반발하므로 다시 삼척부사로 옮기게 되었다. 결국 노수신과 이이의 조정은 실패했고, 선조는 당쟁의 완화를 위한 조처로 이조전랑의 추천·교대 제도를 폐지하기에 이르렀다.

그 뒤 사간의 물망에 올랐으나 선조가 허락하지 않아 내직에 복귀하지 못했고, 당쟁이 더욱 심해지면서 안악군수로 자청해 나갔다. 이 후 10여년 간 한직(閑職)에 머물며 당쟁이 일어난 것에 대해 책임을 느끼고 시사(時事)에 대해서는 입을 열지 않았다. 후에 선조의 특명으로 영흥부사로 승진해 재직 중 죽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삼척의 경행서원(景行書院)에 제향되었다. 문집으로는 『성암집(省菴集)』이 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성암유고(省菴遺稿)』
『국조방목(國朝榜目)』
『동명집(東溟集)』
『남명집(南冥集)』
『동유사우록(東儒師友錄)』
『당의통략(黨議通略)』
『이조당쟁사연구』(강주진, 서울대학교출판부, 1971)
집필자
이태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