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울

목차
관련 정보
여흥민씨 너울
여흥민씨 너울
의생활
물품
조선시대 여성의 내외용 쓰개류의 일종.
내용 요약

너울은 조선 시대 여성의 내외용 쓰개류의 일종이다. 광의의 너울은 드리우는 천과 갓 같은 것에 드리운 입자를 총칭하기도 한다. 하지만 협의의 너울은 드리우는 천만을 말한다. 너울에 관한 기록은 이수광의 책 『지봉유설』에 처음 보인다. 조선 시대 초에는 궁중과 양반계급 여인들이 외출할 때 얼굴 가리개로 사용했다. 조선 시대 말에는 궁중가례와 능행 및 궐내에서 착용했다. 형태는 갓 위에 사각형의 천을 씌운 것으로, 위보다 아래가 약간 넓은 자루형이다. 길이는 어깨까지 오며 눈 위치에 밖을 내다볼 수 있도록 비치는 옷감을 대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여성의 내외용 쓰개류의 일종.
내용

광의의 너울은 드리우는 천과 주10를 총칭하며 협의의 너울은 드리우는 천만을 말한다. 국초에는 궁중과 양반계급 여인들이 사용하다가 국말에는 궁중가례(嘉禮)와 주11 및 궐내에서 착용하였다. 가례때에는 비 · 비빈 · 상궁 · 시녀 · 유모 · 기행내인이 착용하였다. 형태는 갓[笠子] 위에 사각형의 천을 씌운 것으로, 위보다 아래가 약간 넓은 자루형이며, 길이는 어깨까지 오며, 눈 위치에 밖을 내다 볼 수 있도록 비치는 옷감을 대었다.

너울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광해군 때 『지봉유설』1614)에 보이나, 인조 5년(1627) 소현세자 『가례도감의궤』부터 영조 20년(1744) 『가례도감의궤』 총 10개에는 너불[汝火]로 기록되었고, 영조 35년(1759)∼광무 10년(1906) 순종 · 순종비 『가례도감의궤』 총 10개에는 너울[羅兀]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가례언해』(1632년)에 너울은 얼굴을 가리는 주9와 같은 것이라고 하였고, 면사에 관한 기록은 태종 8년(1408)과 연산군 4년(1498)에 보인다. 주1에 관한 기록은 태종 9년(1409) · 12년(1412), 세종 3년(1421) · 11년(1429), 성종 10년(1479) 『대전속록』 등에 보인다. 조선 초기에는 입모(笠帽) · 면사(面紗)라고도 하였으나 인조 때에 너울[羅兀]과 너불[汝火]이 혼용되었고, 영조 이후에 너울로 집약되었다.

너울의 기원은 『고려도경』(1123)에 흑색 라(羅) 몽수(蒙首)라는 설이 일반적이다. 몽수는 얼굴과 전신을 가리는 것으로 주2의 멱리(冪䍦)에서 유래됐다고 보는 견해와 고려와 아랍과의 교류에 의해서 유행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당시 주3에서 사용되었던 개두(蓋頭)를 주휘(周輝)의 『청파잡지 淸波雜志』에서 보면 사각형 자색라로 몸의 반[半身]을 가리는 것으로 당(唐)의 유모제(帷帽制)라고 하였다. 그런데 비슷한 시기에 고려에서도 개두가 사용된 것을 『계림유사』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송에서 고려에 개두가 들어와서 몽수와 개두가 혼용되었다. 또한 조선의 너울과 개두의 형태가 같았으므로 너울은 개두의 유제라고 본다.

가례시의 비의 너울은 자적라(紫的羅)에 자 초립을 착용하고, 빈궁은 자적라에 청초립을, 기행나인은 흑주(黑紬)에 청(靑) 주4을, 상궁 · 시녀 · 유모는 주5와 청상립을, 숙의 · 공주는 조라에 청초립을, 이상의 수종인들은 조주(皂紬)에 청 상립을 착용한다. 궁인의 능행(陵行)시의 너울은 정조 능행도에서 보면 가례시와 동일한 형태의 황색 너울을 착용하였고, 한양가에서 보면 대궐 내에서 착용하는 너울도 황색으로 같다.

창덕궁 소장 유물은 황색라 6폭이며, 위는 좁고 아래는 약간 넓은 자루형이다. 눈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가로 24㎝, 세로 32㎝를 삼적 주6를 대어 투시할 수 있으며, 직경 3㎝의 황색 주7을 사방 연속으로 노랗게 찍었으며, 궐내에서 착용했던 것이다.

참고문헌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
『가례언해(家禮諺解)』
『고려도경(高麗圖經)』
『고려사』
『국혼정례(國婚定例)』
「내외용 쓰개류에 대한 고찰」(강순제, 『한국의류학회지』 2·1, 1978)
「나올에 관한 고찰」(김애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
『상방정례(尙方定例)』
『지봉유설(芝峰類說)』
『태종실록』
주석
주1

예전에, 비가 올 때 갓 위에 덮어 쓰던 고깔과 비슷하게 생긴 물건. 비에 젖지 않도록 기름종이로 만들었다. 우리말샘

주2

618년에 중국의 이연(李淵)이 수나라 공제(恭帝)의 왕위를 물려받아 세운 통일 왕조. 도읍은 장안(長安)이며,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고 문화가 크게 융성하였으나, 안사(安史)의 난 이후 쇠퇴하여 907년에 주전충(朱全忠)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3

중국 주나라 때에, 무왕이 은나라 주왕의 서형(庶兄) 미자계(微子啓)에게 은나라 유민을 통치하게 하기 위하여 세운 나라. 상구에 도읍을 정하고 춘추 시대의 12제후의 하나가 되었으나, 기원전 286년에 제, 위, 초의 세 나라에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주4

‘방갓’을 속되게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검정색의 얇고 반투명하며 가벼운 비단으로 만든 쓰개. 고려 시대 귀족 부녀들이 외출할 때 남에게 얼굴을 보이지 않으려고 사용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길이가 짧아졌고 개두로 명칭이 바뀌었다. 우리말샘

주6

명주, 모시, 무명실 따위로 짠 천의 하나. 우리말샘

주7

도자기를 만들 때에, 도장 따위의 도구로 눌러 찍은 무늬. 우리말샘

주8

결혼식 때에 신부가 머리에 써서 뒤로 늘이는, 흰 사(紗)로 만든 장식품. 우리말샘

주9

결혼식 때에 신부가 머리에 써서 뒤로 늘이는, 흰 사(紗)로 만든 장식품. 우리말샘

주10

예전에, 어른이 된 남자가 머리에 쓰던 의관의 하나. 가는 대오리로 갓양태와 갓모자를 만들어 붙인 위에 갓싸개를 바르고 먹칠과 옻칠을 한 것인데 갓끈을 달아서 쓴다. 우리말샘

주11

임금이 능에 거둥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