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직설 ()

농사직설
농사직설
산업
문헌
조선전기 문신 정초 · 변효문 등이 왕명에 의하여 우리나라의 풍토에 맞는 농법으로 1429년에 간행한 농업서.
정의
조선전기 문신 정초 · 변효문 등이 왕명에 의하여 우리나라의 풍토에 맞는 농법으로 1429년에 간행한 농업서.
서지적 사항

1책.

편찬/발간 경위

1429년(세종 11)에 주1으로 간행하여 이듬해 각 도의 감사와 주 · 부 · 군 · 현 및 경중(京中)의 2품 이상에게 널리 나누어 주었다.

이 책은 그 뒤에도 판을 거듭하여 1492년(성종 23)에 주2으로, 1656년(효종 7)에는 ≪농가집성≫에 포함되어 십항본(十行本)으로, 이어서 1686년(숙종 12)에 숭정본(崇禎本)으로 인행(간행)되었다. 내사본은 일본에까지 건너갔다. 그 뒤에도 ≪산림경제≫ · ≪임원경제지 林園經濟志≫ 기타 여러 국내 농서에 인용되었다.

내용

≪농사직설≫의 내용이 대부분 중요 곡식류에 국한되고 기술이 간단하나, 우리 나라 풍토에 맞는 농법으로 편찬된 책으로는 효시가 된다. 또 이것이 지방 권농관의 지침서가 되었을 뿐 아니라, 그 뒤로 속속 간행된 여러 가지 농서 출현의 계기가 되었다.

정초가 쓴 서문에서와 같이 풍토가 다르면 농사의 법도 다르기 때문에, 이미 간행된 중국의 농서와 같지 않았다. 그러므로 각 도 감사에게 명하여 각지의 익숙한 농군들에게 물어 땅에 따라 이미 경험한 바를 자세히 듣고 수집하여 편찬하고, 인쇄, 보급하게 된 것이다.

즉, 종래에는 중국의 옛 농서에 의존하여 지방의 지도자들이 권농에 종사하였으므로 실제로 풍토에 따른 농사법의 변경이 어려웠던 것이다. 이와 같이 ≪농사직설≫은 지역에 따라 적절한 농법을 수록하였으며, 우리 실정과 거리가 있는 중국 농사법에서 탈피하는 좋은 계기를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의 내용은 주3 · 주4 · 주5 · 주6 · 주7 · 주8 · 주9 · 주10 · 주11 · 주12 등 10항목으로 나뉘어 논술되어 있다.

이는 곡식작물 재배에 중점을 둔 농서인데, 이 책에 수록되어 있는 농사법의 모습을 살펴보면 우선 벼의 재배법으로 주13 · 주14 · 주15의 세 가지 수도재배법(水稻栽培法)과 주16이 있었다.

즉, 이 네 가지 벼 재배법이 주17 · 수리(水利) · 지세 등 환경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되었던 것이다. 또, 경작농구로서는 쟁기 · 써레 · 쇠스랑 · 미리개 · 번지 · 고무래 · 따비 · 호미 등이 쓰였으며, 거름으로는 인분 · 우마분 · 주25 · 주18 · 외양간거름 등이 사용되었다.

논밭갈이로는 봄가을의 주19과 가을의 주20을 장려하였다. 밭작물의 파종법으로는 주21 · 주22 · 주23 등 세 가지 방법이 시행되었으며, 경작방식으로는 2년3작 · 단작 · 혼작 · 휴한 · 간작 등이 적절히 채택되었다.

≪농사직설≫의 내용은 판본이 거듭되고 개수됨에 따라 계속 증보되었는데, 예를 들면 조도앙기(早稻秧基), 주24, 목화재배법 등의 새 항목이 첨가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태종실록』
『세종실록』
「농사직설해제」(이춘녕,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69)
주석
주1

관청에서 서적을 편찬함. 또는 그 서적.    우리말샘

주2

관아에서 간행한 책 가운데 임금이 신하에게 하사한 책.    우리말샘

주3

종자의 선택과 저장, 종자처리 등

주4

논밭갈이

주5

삼의 파종과 재배, 수확

주6

벼의 재배

주7

기장 · 조 · 수수의 재배

주8

피의 재배

주9

콩 · 팥 · 녹두의 재배

주10

보리와 밀의 재배

주11

참깨 가꾸기

주12

메밀 재배

주13

농사짓는 방법의 하나. 논밭에 낼 모를 따로 준비하지 않고 씨앗을 직접 논밭에 심어 기른다.    우리말샘

주14

농사짓는 방법의 하나. 밭벼처럼 씨를 뿌려 키우다가 장마 이후에 물을 담은 채 논에 심어 기른다.    우리말샘

주15

못자리에서 키운 벼의 모를 논에 옮겨 심어 재배하는 이식법으로 요사이 실시하는 수도재배법

주16

이른바 밭벼 또는 陸稻栽培法

주17

일정한 지역에서 여러 해에 걸쳐 나타난 기온, 비, 눈, 바람 따위의 평균 상태.    우리말샘

주18

생풀이나 생잎으로 만든, 충분히 썩지 않은 거름.    우리말샘

주19

논밭을 얕게 갊.    우리말샘

주20

땅을 깊이 가는 일.    우리말샘

주21

밭에 고랑을 내어 줄이 지게 씨를 뿌리는 일. 또는 그런 방법.    우리말샘

주22

씨를 뿌림. 또는 씨를 뿌리는 방법.    우리말샘

주23

한 밭에 심는 두 가지 이상의 작물이나 목초의 씨를 미리 섞어서 심음.    우리말샘

주24

도열병에 걸린 벼의 처리법

주25

볏짚이나 초목을 태운 것으로 카리(칼륨)성분이 많아 거름으로 이용하거나, 똥오줌같은 물질을 섞어 만드는 거름.    바로가기

집필자
이춘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