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레

목차
관련 정보
써래
써래
산업
물품
갈아 놓은 논이나 밭의 흙덩이를 바수거나 바닥을 판판하게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
목차
정의
갈아 놓은 논이나 밭의 흙덩이를 바수거나 바닥을 판판하게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
내용

‘쓰래(경기도 덕적)·써리(경상남도 영산)·써으리(전라남도 영광)·써그레(강원도 도계)·성으리’라고도 하며, 『농사직설』에는 목작(木斫)으로 표기되어 있다.

형태는 긴 토막나무에 둥글고 끝이 뾰족한 이 6∼10개를 빗살처럼 나란히 박고, 위에는 손잡이를 가로대었다. 또, 토막나무에 대각을 이루도록 긴 나무를 박고 여기에 봇줄을 매어 소의 멍에에 잡아매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논과 밭에서 쓰는 써레를 구분하였는데, 논에서 쓰는 것을 '무논써레', 밭에서 쓰는 것을 '마른써레'라 한다.

몸체는 보통 소나무로 만들며 써렛발은 참나무나 박달나무같이 단단한 나무를 깎아 쓰지만, 한두 해가 지나면 갈아 대어야 한다. 일부지역에서는 논에서 쓰는 것을 ‘무논써레’, 밭에서 쓰는 것을 ‘마른써레’라고 하여 두 가지로 쓴다.

마른써레의 경우는 써렛발이 하늘을 향하도록 뒤집어 놓고 이 위에 아이들이 올라타고 소가 끌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덩어리진 밭의 흙이 깨뜨려지는 것이다. 또, 못자리를 판판하게 고르는 번지를 따로 쓰지 않는 곳에서는 써레의 발과 발 사이에 새끼줄을 감고 이것을 논바닥 위로 끌어서 판판하게 고른다.

한편, 전라남도 고흥에서는 옹이진 참나무 자연목 6, 7개를 밑으로 하여 바닥을 만들기도 하고, 옹이가 없으면 따로 발을 만들어 끼워 이것을 소가 끌게 하면서 장정이나 어린아이가 타거나 큰 돌을 얹기도 한다. 이것을 ‘공이써레’라고 한다.

써레의 무게는 보통 10㎏ 내외이며 소와 남자 한 명이 하루에 논 2,000여 평을 다룰 수 있다. 써레질이 끝나면 논농사의 중요한 고비 하나를 넘긴 셈이므로 ‘써레시침’이라 해서 음식과 술을 장만하여 농악을 치면서 하루를 즐기는 풍습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농기구고』(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재관리국, 196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광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