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 따라 둥당애당, 둥덩실, 둥덩애덩, 등단이야 등 다양한 가사로 노래한다. ‘둥당기’는 전북특별자치도 익산 삼기 지역의 익산 목발노래로 널리 알려지게 된 유형이나, 더 왕성하게 전승되고 있는 서남해안 도서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둥당애타령으로 알려져 있다.
메기고 받는 방식으로 노래하지만, 혼자 부를 때나 서사적인 이야기를 길게 부를 때는 받는소리를 생략한다, 물레 방에서 여럿이 함께 노래할 때는 벽을 타고 돌아가면서 메기기 때문에 ‘벽돌림한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메기는소리는 1장단, 2장단, 4장단 단위가 많지만 서사적인 이야기를 메길 때에는 이야기가 끝날 때까지 한 없이 길어지기도 한다. 받는소리 역시 1장단, 2장단 단위가 가장 흔하지만 6장단으로 확대하여 부르는 사례도 있다.
‘미라도-도시라미’의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다. 중중모리장단에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자진모리장단으로 빠르게 부르기도 하며 자진모리 장단에 놀이를 곁들여 강강술래와 함께 놀기도 한다. 반대로 시집살이노래로 혼자 부를 때에는 매우 느리게 부르는데, 진도에서는 3소박 6박의 느린 주1에 맞는 긴둥덩이타령을 편곡하여 부르기도 하였다.
둥당기타령을 부르며 놀 때는 생활 악기인 물방구와 활방구를 연주하는 일이 많다. 물방구는 주2에 물을 담고 그 위에 박바가지를 엎은 후 손이나 숟가락, 젓가락, 또는 나뭇가지나 또아리 등으로 치는 생활 악기이다. 또 물방구 위에 솜 타는 데 사용하는 활을 얹어 줄을 튕기면 현악기와 같은 소리가 나는데 이를 활방구라 한다.
<1장단 받는소리>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2장단 받는소리>
둥당애당 둥당애당 /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6장단 받는소리>
둥당애당 둥당애당 /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둥당애 소리 누가 내 / 못생긴 큰애기 내가 내
내고 싶어 낸것인가 / 실성에 지워서 내가냈제
<4장단 메기는소리>
솜버신 솜버신 / 오 옥양목 솜버신
신을줄 모르면 신지나 말지 / 등잔에 초꽂이 생고생 시킨다
<확대형 메기는소리>
오란다네 오란다네 / 재너메 폿니가 오란다네
멋하자고 오란단가 / 은절미 놋접시 엿 부어 놓고
혼자 묵기는 개심심한께 / 단둘이 묵자고 오란다네
익산 삼기 농요가 있다.
‘둥당애도 못하믄 사람이냐?’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서남해안 지역에서 널리 불리는 민요이다. 강강술래와 선율과 악곡 형식이 유사하여 서로 혼용하여 부르며, 느리게 불러 시집살이노래로도 부르기도 하는 다기능 민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