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선 ()

목차
과학기술
물품
조선 전기 전투와 조운(漕運)을 겸할 수 있게 만든 군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 전투와 조운(漕運)을 겸할 수 있게 만든 군선.
내용

『세종실록』 지리지의 기록에 의하면, 조선 전기 왜구를 토벌하기 위해 대선(大船)·중대선(中大船)·중선(中船)·쾌선(快船)·맹선(孟船)·별선(別船)·추왜별맹선(追倭別孟船)·추왜별선(追倭別船) 등 여러 종류의 군선들이 증강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일정한 규격 없이 건조되어 군선으로 쓰기 어려워지자 1461년(세조 7) 10월 신숙주(申叔舟)가 각지의 군선을 개량해 군용과 조운을 겸할 수 있도록 하자고 주장했다. 이에 1465년 병조선(兵漕船)이 개발되었고, 이것이 맹선의 전신이 되었다.

병조선은 세조대에 개발되어 『경국대전』 반포를 계기로 대·중·소 맹선으로 개명되어 그 뒤 1세기 동안 조운과 전공(戰攻)에 사용되었다. 왜구가 완전히 진압된 평화시에는 군선을 평화적으로 이용해 병조선은 맹선제도로 발전했다.

『경국대전』에서 맹선에 대한 제반 규제는 수군(水軍)의 군비감축이라는 뚜렷한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세종실록』 지리지와 『경국대전』의 군선 및 선군(船軍)의 수를 비교해 보면, 군선이 829척에서 739척으로 줄었고, 선군이 5만 177인에서 4만 8800인으로 감축되었다.

더욱이 『세종실록』 지리지에 조선 829척 중 무군선(無軍船)이 57척 뿐인데 『경국대전』에는 737척의 군선 중 249척의 무군선이 기록되어 있어 세조 때 오히려 군용선척의 감축이 있고 조운의 사용이 많았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맹선은 제작 후 군용보다는 조운에 보다 많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맹선은 군선으로서는 너무 둔중하여 쓸모가 없다는 논란이 성종 때에 거론되었고, 중종과 명종 때에 계속적으로 발생한 삼포왜란·사량왜변·을묘왜변 등의 변란에서 맹선은 군선으로서의 구실을 다하지 못했다.

그러자 1555년(명종 10) 대형군선인 판옥선(板屋船)이 개발되었고, 이어 종형군선인 방패선(防牌船)이 등장해 이후 맹선은 군선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말았다.

또한 임진왜란과 그 뒤의 시기에도 군사적 활동을 찾아볼 수 없고 간혹 기록에 나타난다 하더라도 그 구실은 비군사적인 것이었다. 이렇듯 맹선은 중종 때에 군선으로서의 명맥을 다했다.

그러나 그 종류의 배가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니었다. 단지 맹선이라는 군선 이름이 없어졌을 뿐, 그 구조와 선체의 모양은 일반 조운선으로 계승되어 조선 말기까지 남게 되었고, 명종 때에 개발된 혁신적인 군선인 판옥선이나 이순신(李舜臣)의 거북선[龜船]도 그 하체구조는 맹선과 크게 다를 것이 없었다.

맹선은 조선 전기의 전형적인 한선구조(韓船構造)의 배로 고려시대의 조운선인 초마선(哨馬船) 및 조선 후기의 조선(漕船)과 동일한 계통의 배이다. 그리고 그 구조와 선형은 우리 나라 재래의 전통적인 평저구조(平底構造)를 보이고 있다.

즉, 넓고 평탄한 저판(底板)을 밑에 놓고, 그 좌우 현측(舷側)에 외판(外板)을 세워 붙였으며, 선수(船首)에는 ‘비우’라고 하는 평면선수재(平面船首材), 선미(船尾)에는 평면으로 된 선미재(船尾材)를 세워서 선체를 꾸며 놓았다.

그리고 맹선이 군용으로 쓰여질 때에는 노역(櫓役)을 할 곳으로 양현에 적당한 수의 노(櫓)가 설치되고, 병사들이 타고 전투에 임할 갑판(甲板)을 깔아놓은 비교적 단순한 구조이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군선에는 대맹선·중맹선·소맹선의 세 종류가 있어 전국 수군기지에 배치되었음을 볼 수 있다. 대맹선의 규모는 군사 80인이 탑승할 수 있을 정도였고, 조운선으로 이용될 경우에는 800석의 곡물을 운반할 수 있는 정도였다.

조선 전기 전국의 진포(鎭浦)에 배치된 대맹선의 수는 80척이었으며, 각종 맹선 중에서 대맹선은 애당초 세곡(稅穀)을 운반하는 조운과 겸용을 위해 개발된 겸용선으로 갑판 위의 상장(上粧)을 되도록 간편하게 꾸며 놓았다.

중맹선의 규모는 군사 60인 정원으로 전국 진포에 배치된 수는 192척이고, 소맹선의 규모는 군사 30인 정원, 전국 진포에 배치된 수는 216척이다. 대맹선은 주로 조운 겸용의 병조선으로 성종 때부터 판옥선이 등장한 명종 때까지 주로 조운선으로 사용된 데 비해, 소맹선은 오히려 군선으로서의 구실을 다했다.

참고문헌

『세종실록』
『경국대전』
『동국문헌비고』
『만기요람(萬機要覽)』
『한국선박사 연구』(김재근,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4)
『조선왕조군선 연구』(김재근,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