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관치장승 설화 ( )

목차
구비문학
작품
지혜로운 원님이 장승을 치죄하여 범인을 잡아냈다는 내용의 설화.
이칭
이칭
장승재판, 망두석재판
목차
정의
지혜로운 원님이 장승을 치죄하여 범인을 잡아냈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

소화(笑話) 중 지략담(智略譚)에 속하며, ‘장승재판’·‘망두석재판’이라고도 한다.

선조 때 고상안(高尙顔)의 『효빈잡기(效嚬雜記)』, 조선 영조 때 박양한(朴亮漢)의 『매옹문록(梅翁聞錄)』 및 19세기 중엽의 『청구야담(靑丘野談)』에는 ‘청주쉬인이권술포도(淸州倅人以權術捕盜)’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으며, 국내의 여러 지역에서 구전되고 있다.

비단장수가 장승에 기대어 조는 사이에 비단을 잃어버렸다. 비단장수는 원님에게 잃은 물건을 찾아 달라 하였는데, 원님은 장승을 끌고 와 매를 치면서 비단을 내놓으라고 하였다.

이런 소문을 듣고 구경하러 온 마을 사람들에게 원님은 불경스럽다면서, 벌을 받지 않으려면 비단 한 필씩을 바치라 하였다. 마을 사람들이 바친 비단 가운데서 비단장수가 잃은 물건을 찾아 범인을 잡았다.

중국의 『포공기안(包公奇案)』이라는 공안소설집(公案小說集)에도 이와 비슷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잃은 물건이 종이인 경우도 있으며 물건을 바치게 하는 방식도 각 편마다 다르다.

나무나 장승을 마을 사람들에게 지키라 하고는 명령을 안 지켰다고 물건을 바치도록 하는 경우, 무거운 바위를 운반하거나 미륵을 감추어 놓고 다시 찾아오라 시키고는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고 물건을 바치도록 하는 경우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불경죄 유형은 중국 연원의 설화로서 동양 삼국에 널리 유포되어 있는 것인 반면에, 명령 불이행 유형은 순수한 우리 창작의 변이 형태이다.

참고문헌

『효빈잡기(效嚬雜記)』
『매옹문록(梅翁聞錄)』
『청구야담(靑丘野談)』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조선민족설화의 연구』(손진태, 을유문화사, 1947)
「공안설화의 연구」(강현모, 한양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86)
「명관의 치장승설화 비교연구」(김현룡, 『국어국문학』71, 197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