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두 ()

목차
관련 정보
복두 / 공복
복두 / 공복
의생활
물품
각이 지고 위가 평평한 관모.
목차
정의
각이 지고 위가 평평한 관모.
내용

사모(紗帽)와 같이 두 단으로 되어 있으며, 뒤쪽의 좌우에 각(脚)이 달려 있다. 복두는 중국에서 생겨난 관모로서 주1 · 파두(帕頭) · 연과(軟裹) 등의 별칭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건(巾)에서 비롯되었다. 주2 무제(武帝) 때 머리를 감싼 데서 복두라 불리게 된 것이다.

이때는 각을 연백(軟帛)으로 만들어 드리웠으며 주3 때 만들기 시작하였다. 주4 때는 주5 대신 주6를 사용하였으며 관형화(冠形化) 되어 주8주7의 상복(常服)에 쓰게 되었다. 사각(四脚)이던 것이 양각(兩脚)으로 되었으며, 연각(軟脚)이던 것이 점차 경각(硬脚)으로

오대(五代)주9 이후부터 각은 점차 평직(平直)으로 변하였고 주14 때에는 군신이 모두 전각복두(展脚幞頭)를 쓰게 되었다. 이때의 복두는 모체(帽體)가 낮고 각이 길었는데, 특히 제왕의 것은 몹시 길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진덕여왕 때 당나라의 복식제도를 따르게 되면서 처음으로 쓰게 되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복두 한 가지로 되어 귀족 · 관인은 물론 평민까지도 착용하였다. 단, 계급에 따라 재료에 차이가 있어서 흥덕왕 9년(834)의 복식금제에 6두품은 세(繐) · 나 · 견(絹)을, 5두품은 나 · 시(絁) · 견을, 4두품은 시와 견을, 평민은 견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금제는 또한 복두 재료의 사용이 독자적이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고려는 개국 초에는 신라의 제도를 그대로 쓰다가 광종 때 백관의 공복을 정하였다. 이때 제정한 복두는 중국 오대의 평직으로 된 것을 받아들여 전각복두를 사용하였다. 초기에는 각의 길이가 어깨 너비를 넘었는데 말엽에는 길이가 짧아졌다.

고려시대에도 왕으로부터 문무백관 · 사인에 이르기까지 통용하였으며, 말기에 이르러서는 양반집 종들도 쓰게 되었다. 이는 고종 39년(1252)에 왕이 최항(崔沆)의 종에게 복두를 쓰는 것을 허락하면서부터였다고 한다. 이와 같이 복두는 고려에서 가장 성행하였다. 특히 주10으로 사용된 것은 매우 화려하고 종류도 다양하여 전각복두 · 금화곡각복두 · 권착복두 · 상절각복두 등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왕세자와 백관의 공복으로 『경국대전』에 제정되었으나 공복착용이 사라지면서 그 용도가 점차 국한되어 의식 때 이외에는 별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중국에서는 주11가 망하고 주12가 들어서게 되자 쓰지 않게 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관례복이나 급제관복으로 주15까지 유지되어 왔다.

특히 서리 계급에서는 유일한 관모였으며, 주16으로도 사용되어 오늘날에도 국악 연주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또 과거에 장원급제하면 복두에 어사화를 꽂고 주13를 하는 풍속이 있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고려사』
『경국대전』
『송사(宋史)』
『唐代の服飾』(原田淑人, 東洋文庫, 1970)
주석
주1

흰 베로 만든, 공복(公服) 착용 시 쓰는 모자. 우리말샘

주2

중국 오대(五代)의 마지막 왕조. 951년에 곽위(郭威)가 후한(後漢)을 멸하고 변경(汴京)을 도읍으로 하여 세운 것으로 3대 10년 만에 송나라에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3

581년에 중국 북주(北周)의 양견(楊堅)이 정제(靜帝)의 선양(禪讓)을 받아 세운 왕조. 581년에 개국하였으며, 589년에 진(陳)나라를 합쳐 중국을 통일하였으나, 618년에 당나라 고조 이연(李淵)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4

618년에 중국의 이연(李淵)이 수나라 공제(恭帝)의 왕위를 물려받아 세운 통일 왕조. 도읍은 장안(長安)이며,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고 문화가 크게 융성하였으나, 안사(安史)의 난 이후 쇠퇴하여 907년에 주전충(朱全忠)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5

무늬 없는 고급 비단

주6

성글고 얇은 비단

주7

사대부와 서인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모든 벼슬아치. 우리말샘

주9

중국에서, 동진(東晉)이 망한 뒤부터 당나라가 건국되기 이전까지의 과도기에 흥망한 다섯 왕조. 남조(南朝)의 송(宋), 제(齊), 양(梁), 진(陳)과 남북을 통일한 수(隋)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0

군복

주11

1368년에 주원장이 강남(江南)에서 일어나 원(元)을 북쪽으로 몰아내고 세운 중국의 통일 왕조. 영락제 때 난징(南京)에서 베이징으로 도읍을 옮기고 몽고와 남해에 원정하여 전성기를 이루었으나, 뒤에 북로남왜에 시달리고 환관의 전횡과 당쟁, 농민의 반란이 끊이지 않아 1644년에 이자성(李自成)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12

중국의 마지막 왕조(1616~1912). 여진족의 누르하치가 여러 부족을 통일하여 후금국을 세우고, 그 아들 태종이 국호를 이것으로 고쳤으나 신해혁명으로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주13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시험관과 선배 급제자와 친척을 방문하던 일. 우리말샘

주14

중국에서, 960년에 조광윤이 카이펑(開封)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1127년에 금(金)의 침입을 받아 정강의 변으로 서울을 강남(江南)의 임안(臨安)으로 옮길 때까지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5

대한 제국의 마지막 시기. 우리말샘

주16

조선 시대에 음악 연주를 맡아 하던 사람들이 입던 관복.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