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응 ()

명현화상 중 서명응 초상
명현화상 중 서명응 초상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보만재집』, 『보만재총서』, 『보만재잉간』 등을 저술한 문신.
이칭
군수(君受)
보만재(保晩齋)
시호
문정(文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16년(숙종 42)
사망 연도
1787년(정조 11)
본관
대구(大邱)
정의
조선 후기에, 『보만재집』, 『보만재총서』, 『보만재잉간』 등을 저술한 문신.
개설

본관은 대구(大邱). 자는 군수(君受). 보만재(保晩齋)라는 호를 정조로부터 내려 받았다. 판서 서성(徐渻)의 5세손이고, 남원부사 서정리(徐貞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참찬 서문유(徐文𥙿)이고, 아버지는 이조판서 서종옥(徐宗玉)이며, 어머니는 이집(李㙫)의 딸이다. 영의정 서명선(徐命善)의 형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54년(영조 30)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부제학(副提學)·이조판서를 거친 뒤, 청나라 연경(燕京)에 사행하여 다녀왔다. 그 뒤 대제학을 거쳐 상신(相臣: 정승)에 오르고 봉조하(奉朝賀)에 이르렀다. 박학강기(博學强記)로 이름났으며 역학(易學)에도 조예가 깊었다.

정조가 동궁에 있을 때 빈객(賓客)으로 초치되어 학문 수련에 큰 도움을 주었다. 정조 즉위 직후 규장각이 세워졌을 때 제학(提學)에 첫번째로 임명되었으며, 죽을 때까지 규장각 운영에 절대적인 찬획(贊劃: 영향)을 끼쳤다.

흔히 북학파(北學派)의 비조(鼻祖)로 일컬어지며, 이용후생(利用厚生)을 추구하는 학문 정신은 아들 서호수(徐浩修), 손자 서유구(徐有榘)에로 이어져 가학(家學)의 전통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역학계몽집전(易學啓蒙集箋)』·『황극일원도(皇極一元圖)』·『계몽도설(啓蒙圖說)』 등의 역서류, 『열성지장통기(列聖誌狀通記)』·『기사경회력(耆社慶會曆)』·『기자외기(箕子外紀)』·『대구서씨세보(大丘徐氏世譜)』·『양한사명(兩漢詞命)』 등의 사서류, 『고사신서(攷事新書)』의 유서(類書) 등을 편찬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고, 저술로는 『보만재집(保晩齋集)』·『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보만재잉간(保晩齋剩簡)』 등을 남겼다.

이 저술들은 사후에 서호수와 서유구 등에 의해 정리된 것인데, 『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는 정조로부터 “우리 동쪽에서 400년 간에 이런 거편(鉅篇)이 없었다.”는 평을 받았으며, 『보만재잉간(保晩齋剩簡)』은 총서를 편집하고 남은 것을 따로 모은 것이다. 『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는 일종의 유서로서 『고사신서(攷事新書)』와 함께 서명응의 농업을 중심으로 한 이용후생의 학문 정신을 대표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집필자
이태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