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련 정보
쑥
식물
생물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목차
정의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내용

학명은 Artemisia princeps Pamp.이다. 높이는 60∼120㎝에 달하며 원줄기에 종선이 있다. 전체가 거미줄 같은 털로 덮여 있고,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싹이 나와 군생한다.

근생엽(根生葉)과 밑부분의 잎은 나중에 쓰러지며 경생엽(莖生葉)은 가탁엽(假托葉)이 있다. 경생엽은 타원형이며 길이 6∼12㎝, 너비 4∼8㎝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열편(裂片)은 2∼4쌍으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鈍頭) 또는 예두(銳頭)이며, 뒷면에 백색 털이 밀생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결각상(缺刻狀: 잎의 가장자리가 깊이 패어 들어간 상태)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진다.

꽃은 7∼9월에 피며 길이 2.5∼3.5㎜, 지름 1.5㎜로서 화경(花梗)이 거의 없다. 총포(總苞)는 긴 타원상 종형(鐘形)이며 길이 2∼2.5㎜, 지름 1.5㎜로서 거미줄 같은 털이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수과(瘦果)는 길이 1.5㎜, 지름 0.5㎜로서 털이 없다.

쑥은 우리의 건국신화에 등장할 정도로 그 이용의 역사가 오래이다. 한방에서는 약재로 이용한다. 약성은 온(溫)하고 신(辛)하며 이기혈(理氣血)·온경(溫經)·지혈(止血)·축한습(逐寒濕)·이담(利膽)·안태(安胎)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심복냉통·월경불순·붕루(崩漏)·대하·토혈·변혈·소화불량·식욕부진·만성간염·태동불안(胎動不安)·습진·개선(疥癬:부스럼) 등의 증상에 사용한다. 주요 처방으로는 향애환(香艾丸)·애강탕(艾薑湯)·교애궁귀탕(膠艾芎歸湯)·애엽탕(艾葉湯)·사생환(四生丸)·교애사물탕(膠艾四物湯) 등이 있다.

말린 쑥은 뜸을 뜨는 데 이용되며, 부싯깃으로도 이용된다. 민간에서는 여름철에 쑥으로 불을 피워 모기를 쫓는 데 이용한다.

어린잎으로는 국을 끓이거나 떡에 넣는다. 또, 우리 민속에는 단오 때 쑥으로 호랑이를 만들어 각신(閣臣)들에게 하사하는 풍속이 있었고, 쑥잎을 따다가 짓이겨 멥쌀가루 속에 넣고 녹색이 나도록 반죽하여 수레바퀴 모양으로 절편을 만들어 먹는 풍습이 있다.

참고문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원색천연약물대사전』(김재길, 남산당, 1983)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198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창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