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해이어보 ()

목차
관련 정보
담정유고 / 우해이어보
담정유고 / 우해이어보
동물
문헌
조선후기 문인 · 학자 김려가 어류 · 갑각류 · 패류 등 53종의 수산동물을 나열하여 1803년에 저술한 실학서. 어보.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인 · 학자 김려가 어류 · 갑각류 · 패류 등 53종의 수산동물을 나열하여 1803년에 저술한 실학서. 어보.
내용

1권 1책. 필사본. 우리나라 최초의 어보이다. 『담정유고(藫庭遺藁)』의 제8권에도 수록되어 있어 『담정집외서(藫庭集外書)』라고도 한다.

저자는 1801년(순조 1) 신유사옥에 연루되어 경원 · 부령 · 진해 등지에서 10여 년간 유배생활을 하며 여러 가지 저술을 하였는데, 대부분을 부령의 김오(金五)에게 빼앗겼으나, 이 책은 광주리에 숨겼다가 그의 조카 학연(鶴淵)이 정서하여 전해왔다고 한다.

우해(牛海)는 마산 진전면의 진해의 별명으로, 이 책은 저자가 진해에 유배되어 있을 때 저술한 것이다. 「자서(自序)」에 의하면, 진해에 유배된 지 2년 여가 지난 1803년 늦가을에 탈고한 것이다.

진해에서 유배생활을 하는 동안 매일 아침 고기바구니와 낚싯대를 가지고 작은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밤을 새우고 돌아오곤 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이상하고 기괴하며 놀랄 만한 물고기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것을 보았고, 바다가 육지보다 넓고 해양동물이 육지동물보다 많다는 것을 알게 되어, 그 형색과 성미 중 기록할 만한 것을 함께 채록하였다고 한다.

이 저술의 명칭을 이어보라고 한 것은 잉어 등과 같이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과 해마(海馬) 등과 같이 어족과 관계가 없는 것을 비롯하여, 하찮은 것이나 의의를 풀이하기 어려운 것을 제외하였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 책은 주로 수산동물을 나열한 것인데, 방어 · 꽁치 등 어류 53종(연체동물 포함)과 갑각류 8종, 패류 10여 종 등이 소개되어 있고, 어종별로는 그 주4으로 생각되는 것을 첨가하여 설명한 것이 많다.

표현에 있어서는 한글을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한문차자를 많이 사용하였고, 또 만든 글자도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설명에 있어서는 각 동물마다 정도의 차이가 심하기는 하지만, 각종 이명(異名) · 형태 · 습성 · 맛 등을 비롯하여 이용법 · 어획법 · 유통 등의 문제도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풍류를 겸한 관찰이었던만큼 말미에 「우산잡곡(牛山雜曲)」이라는 칠언절구의 자작시도 첨가하고 있다. 내용 중 주목을 끄는 것으로서 정어리에 관한 설명을 보면 “정어리가 많이 잡히면 반드시 주5가 많이 발생한다고 하며, 본토박이는 이를 많이 먹지 않고 어류가 희귀한 인근의 함안 · 영산 · 칠원 지방에 내어다 판다.”라고 하고 있다.

이는 18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진해 지방 해안에서 정어리가 많이 어획되었던 사실을 입증하고, 또 그것이 기후변동과도 관계가 있는 것임을 시사하는 것으로서, 정어리자원의 장기적 변동에 관한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어구 · 어획법에 관하여도 상당히 자세히 밝혀놓고 있다. 예컨대, 양타 어획용의 정치어구(定置漁具)의 설치방법 및 어획법이라든지, 비옥(飛玉) 어획용 무결절망(無結節網)의 제작법과 사용법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정약전(丁若銓)『자산어보(玆山魚譜)』와 더불어 유배생활 중 저자들이 직접 관찰하고 들은 바를 옮겨 정리한 실학사상의 결과이며, 수산연구에 있어 중요한 지침이 되는 연구서이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순조실록(純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농림수산고문헌비요』(김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2)
주석
주1

함경북도 경원군에 있는 면. 양(羊) 목축이 활발하고, 목재와 갈탄의 산지로 유명하다. 함경선의 중요한 철도역이며, 군청 소재지이다. 우리말샘

주2

함경북도 중동부에 있는 읍. 부령군의 군청 소재지이다. 우리말샘

주3

경상남도 남해 쪽에 있던 시. 2010년 7월 행정 구역 통합 추진에 따라 마산시와 함께 창원시에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우리말샘

주4

생물의 분류에서 유연관계가 깊은 종류. 예를 들면, 물까치는 까마귀의 근연종이다. 우리말샘

주5

기후가 덥고 습한 지방에서 생기는 유행성 열병이나 학질.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