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우 ()

목차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궁내부특진관, 전라북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관료.
이칭
치경(稚敬)
벽서(碧棲), 회와(晦窩)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41년(헌종 7)
사망 연도
1914년
본관
전주
목차
정의
대한제국기 궁내부특진관, 전라북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관료.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치경(稚敬), 호는 벽서(碧棲) · 회와(晦窩).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礻+甫)의 15대손이며, 증 규장각제학 이종청(李鐘淸)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진사와 군수를 지낸 뒤 1882년(고종 19)에 증광별시문과에서 을과로 급제, 1884년 부수찬을 지내고, 이듬해에는 선전관을 역임하였다.

1890년 사간원 대사간이 되었으며, 1894년에는 전라도관찰사를 지냈다. 이 해에 홍주목사로 있으면서 초토사(招討使)가 되어 동학교도들을 공격하기 위하여 공주의 앞뒤 요충지에 진을 쳤다.

1895년 을미개혁으로 지방관제가 개혁될 때 홍주부관찰사에 임명되었다. 이 해에 홍주에서는 강직한 관리로 이름났던 김복한(金福漢) · 이설(李偰) · 안창식(安昌植) · 안병찬(安炳瓚) · 임한주(林翰周) · 이근주(李根周) 등이 을미사변 직후부터 기병을 계획하다가 단발령을 계기로 창의하여 공주와 임존산성(任存山城)을 점거하는 등 맹위를 떨치고 있었다.

이 때 관찰사로 있던 이승우는 거짓으로 이 의병진에 가담한 뒤 몰래 정부측 관리와 내통하여 순검대를 끌어들여 김복한 · 이설을 비롯한 의병진의 주요인물들을 체포, 투옥함으로써 의병진을 강제 해산하게 하였다.

1896년 함경도관찰사에 임명되었고, 이듬해에는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지냈으며, 1898년에는 봉상사제조가 되었다.

1900년 궁내부특진관을 지내고 1904년 충청북도관찰사, 1905년에는 전라북도관찰사를 지냈다. 그리고 이 해에 전라북도선무사가 되어 각 군을 돌며 군민을 위무하였다. 1906년 전라북도재판소 판사를 거쳐 다시 궁내부 특진관과 봉상사제조를 역임하고 조경단 수개(修改) 때 감동(監董)한 공으로 가자(加資)되었다. 1909년 팔괘장(八卦章) 훈장을 수여받고 1910년 정경(正卿)으로 승진되면서 규장각 제학이 되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한국사』19(국사편찬위원회, 1978)
『고종시대사』1∼6(국사편찬위원회, 1967∼1972)
집필자
박민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