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우 ()

이호우
이호우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이호우시조집』을 저술한 시인. 시조시인.
이칭
이호우(爾豪愚)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2년
사망 연도
1970년
본관
경주(慶州)
출생지
경상북도 청도군
정의
해방 이후 『이호우시조집』을 저술한 시인. 시조시인.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아호는 본명에서 취음하여 이호우(爾豪愚)라 하였다. 경상북도 청도 출신. 아버지는 이종수(李鐘洙), 어머니는 구봉래(具鳳來)이며, 누이동생 이영도(李永道)도 시조시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향리의 의명학당(義明學堂)을 거쳐 밀양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4년 경성 제1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928년 신경쇠약증세로 낙향하였다. 1929년 일본 도쿄예술대학에 유학하였으나 신경쇠약증세 재발과 위장병으로 학업을 포기하고 다음해 귀국하였다. 1934년에는 김해(金海) 김씨 김순남(金順南)과 혼인하였다. 광복 후 『대구일보』 편집과 경영에 참여한 것을 시작으로 1952년 대구일보사 문화부장 · 논설위원 등을 지냈고, 1956년에는 대구매일신문사 편집국장 및 논설위원을 지냈다.

한편으로는 시작 활동을 하여 지방문화 창달에 공적을 남기기도 하였다. 시작 활동은 1939년 『동아일보』 투고란에 「낙엽(落葉)」을 발표하면서부터 시작되었으며, 1940년 『문장(文章)』 6 · 7호 합병호에 시조 「달밤」이 이병기(李秉岐)의 추천을 받음으로써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작품집으로는 첫 시조집 『이호우시조집(爾豪愚時調集)』이 1955년 영웅출판사(英雄出版社)에서 간행되었다. 이어 누이동생 영도와 함께 낸 시조집 『비가 오고 바람이 붑니다』 중의 1권인 『휴화산(休火山)』(1968)을 발간하여 화제를 모으기도 하였다. 이것은 『이호우시조집』 이후의 작품들을 모아 엮은 시조집이다.

그의 시조관은 『이호우시조집』 후기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여기서 한 민족, 한 국가에는 반드시 그 민족의 호흡인 주1가 있어야 하는데 그것을 시조에서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국민시는 간결한 형(型)과 서민적이고 주변적이며 평명(平明)한 내용을 갖추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태도는 그의 작품에 잘 반영되어 있다. 추천 작품 「달밤」에는 이러한 점이 잘 나타나고 있는데 “아무 억지도, 꾸밈도, 구김도 없다.”는 선자(選者)의 말과도 같이 범상적인 제재를 선택하여 평이하게 쓴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범상적 제재와 평이성이 초기 시조의 세계라면, 후기 시조 『휴화산』의 시편들은 인간 욕정의 승화와 안주하는 경지를 보인 점이 특색이다. 한마디로 한국의 고전적 시조를 현대 감각이나 생활 정서로 전환시켜 독특한 시적 경지를 개척한 것이 시조 시단에 남긴 공적이라 할 수 있다. 편저로 『고금시조정해(古今時調精解)』가 있다.

상훈과 추모

1972년 대구 앞산공원에 시비가 세워졌다. 1955년 첫 작품집인 『이호우시조집』으로 제1회 경북문화상을 수상한 바 있다.

참고문헌

「정형에의 향수와 일탈」(김창완,『한국현대시문학대계』22, 지식산업사, 1983)
「이호우론」(한춘섭,『시조문학』, 1976.12.)
「이호우론」(김윤식,『현대시학』, 1970.8.)
「이호우론」(김제현,『현대문학』, 1970.3.)
주석
주1

그 나라 고유의 국민 정서를 읊어 모든 국민이 애송(愛誦)하는 시.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학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