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욱진 ()

목차
관련 정보
회화
인물
해방 이후 「자동차 있는 풍경」, 「모기장」, 「두 아이」 등을 그린 화가. 서양화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7년
사망 연도
1990년
본관
결성(結城)
출생지
충청남도 연기
목차
정의
해방 이후 「자동차 있는 풍경」, 「모기장」, 「두 아이」 등을 그린 화가. 서양화가.
개설

본관은 결성(結城). 충청남도 연기 출생. 서울의 양정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39년일본 동경의 데이코쿠미술학교(帝國美術學校)에 입학, 유화를 전공하고 1944년에 졸업하였다.

활동사항

졸업 직후의 작품인 「마을」과 「독」(1949년)은 한국인의 삶의 본색에 대한 남다른 관심과 정서를, 농촌의 여인상과 쌀독 같은 대상을 특이하게 단순화시켜 주제로 삼은 내용이다.

일찍부터의 이러한 특징은 그 뒤로 더욱 독특하게 발전하였다. 그래서 동심적 상상력과 순수한 표현 감정이 내재된 시골 생활과 그 자연환경을 주제로 하는 일관된 작업으로 추구되었다. 작품들은 거의가 작은 화면에 지극히 밀도 있는 선묘(線描: 선으로만 그림) 윤곽과 평면적이고 장식적인 독특한 색채 표현의 이야기 그림으로 형상화되었다.

마치 아동화 같고 동화책의 그림 같기도 하면서 표현의 세련성과 조형적 구성의 치밀성으로 독특한 화풍을 보여 주고 있다. 구체적인 주제 요소로는 시골 환경의 초가집·기와집·남녀노소·강아지·소·새·산·나무·해와 달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제들을 자유롭게 또는 동심적이면서도 해학적으로 그려 장욱진 예술의 전형을 성립시켰다.

한편, 그러한 시골의 삶의 이야기와 동심적인 자연애의 그림 외에 붉은 벽돌 구조의 양옥과 도시 일각 그리고 자동차 또는 자전거가 나타나 있는 화면도 그렸다.

작가의 어릴 적 체험과 어떤 추억이 주제가 된 듯한 작례(作例)로는 「자동차 있는 풍경」(1953년)·「자전거 있는 풍경」(1955년) 등이 있다. 다른 시골 풍정의 작품에는 「모기장」(1956년)·「까치」(1958년)·「나무가 있는 풍경」(1965년)·「하얀 집」(1969년)·「두 아이」(1973년) 등이 있다.

1947년에서 1952년까지 그는 김환기(金煥基)·유영국(劉永國)·이규상(李揆祥) 등과 비사실주의 지향의 현대적 창작 이념으로 신사실파(新寫實派) 동인전 활동을 하였다. 국전 추천 작가·초대 작가·심사 위원 및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개성이 강하여 기인적인 면모와 일화도 많이 남긴 예술가이다.

1960년대 이후에는 서울 근교의 시골로 거처를 옮기며 제작 생활을 계속하였다. 그러면서 신문·잡지의 청탁으로 예술적 사색과 자연 찬미의 짧은 글도 많이 썼으며, 1976년 그것들을 묶은 수상집 『강가의 아틀리에』가 출판되었다. 1986년중앙일보사 제정 중앙예술대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한국근대회화선집(韓國近代繪畫選集) 양화(洋畫) 12-최영림(崔榮林)·장욱진(張旭鎭)-』(금성출판사, 1990)
『장욱진(張旭鎭)』(두손갤러리, 1987)
『장욱진(張旭鎭)』(현대화랑, 197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구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