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균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시대 때, 좌사원외랑, 이부원외랑, 안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이칭
진정(眞精)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144년(인종 22)
사망 연도
1218년(고종 5)
본관
태산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권지합문지후|전중내급사|시합문지후|감찰어사|좌사원외랑|이부원외랑|안찰사
관련 사건
신라부흥운동
정의
고려시대 때, 좌사원외랑, 이부원외랑, 안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태산(泰山,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자는 진정(眞精). 아버지는 신호위대장군(神虎衛大將軍)을 지낸 전총문(田寵文)이며, 어머니는 허씨(許氏)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성균시(成均試)를 거쳐 문음(門蔭)으로 입사(入仕)하여 권지합문지후(權知閤門祗候)·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시합문지후(試閤門祗候)·감찰어사(監察御史)·좌사원외랑(左司員外郎)·이부원외랑(吏部員外郎) 등의 벼슬을 역임하였다. 1170년(의종 24) 무신정변 이후 전원균이 명종의 내시(內侍)가 되었다는 것은 전원균이 명종의 측근 문신이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이후 1218년(고종 5) 사망할 때까지 무신정권의 고위직을 차지하였다는 것은 친무신정권적인 문신 계열로도 보인다.

1182년(명종 12) 낭장 김광유(金光裕)와 함께 금나라에 가서 방물을 바치고 만춘절(萬春節)을 하례하였다. 1200년(신종 3)에는 경주 이의민(李義旼)의 족인(族人)들이 방환(放還)되어 주리(州吏)와 더불어 틈이 생겨 서로 싸워 이의민의 족인들이 패하였다. 이 때 전원균은 안찰사(按察使)로서 이 사건을 해결하지 못하여 방수(房守)·별장(別將)·통인(通引)이 모두 피살되고 자신도 두려워 다른 읍으로 달아나니, 부사 이적유(李迪儒)가 이를 진압하였다.

1202년(신종 5) 경주인이 다시 반역을 도모하자 최충헌(崔忠獻)이 대장군 김척후(金陟侯)를 초토처치병마중도사(招討處置兵馬中道使)로 삼고 전원균을 부사로 삼아 토벌하게 하였다. 적이 이 말을 듣고 운문산(雲門山) 및 울진(蔚珍)·초전(草田)의 적과 규합하여 세력이 커지니 관군이 싸우지 못하였다. 다음 해에 김척후를 불러들이고 정언진(丁彦眞)으로 대신하였는데, 그 다음 해에 정언진과 함께 돌아오니 박인석(朴仁碩)으로 대신하여 진압하게 하였다.

그 뒤 늙어서 치사(致仕)한 이후 도성 서쪽의 별장에 머물면서 지내다가 1218년(고종 5) 병이 들어 75세의 나이로 죽었다.

무신정권기의 문사 이규보(李奎報)가 쓴 전원균 묘지명(墓誌銘)이 전해져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 중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이의민의 경주세력과 신라부흥운동」(김당택,『경주사학』16, 1997)
「고려 신종대 최충헌정권의 대민시책과 지방사회」(신안식,『사학연구』53, 199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