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도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판전농시사, 홀면병마사, 지병마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정선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낭장|의성창사|예부시랑|판전농시사|신축호종일등공신|수복경성이등공신|홀면병마사|지병마사
관련 사건
홍건적 제2차 침입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판전농시사, 홀면병마사, 지병마사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정선(旌善). 공민왕을 따라 원나라에 들어가 숙위(宿衛)하였다가 왕의 즉위로 귀국하여 낭장(郎將)에 임명되고, 1352년(공민왕 원년) 시종한 공으로 1등 공신에 올랐다.

1355년(공민왕 4) 의성창사(義城倉使)로 있을 때 왕이 광명사(廣明寺)에 행차하여 승려들을 공양하는 데 능히 일을 처리하지 못하여 파직되었다가 곧 복직되었다.

1359년(공민왕 8) 흉년이 크게 들자 예부시랑(禮部侍郞)으로 있으면서 경상도진제사(慶尙道賑濟使)로 파견되었다. 돌아와서는 지방수령직에 서리(胥吏)들이 다수 임용됨으로써 많은 폐단을 저지른다고 파악하고, 과거에 합격한 사류(士流)만으로 수령에 충당할 것을 청하였으나 채택되지 못하였다.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를 지낸 뒤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의 제2차 침입으로 복주(福州: 지금의 안동)로 파천(播遷)한 공민왕을 호종(扈從)하였다. 이 때 왕의 명령으로 홍주도(洪州道)에서 군대를 모집하였고, 또 모든 장수를 따라 경성(京城, 개경)을 수복할 때에도 공로를 세웠다. 이에 따라 1363년(공민왕 12)에는 신축호종일등공신(辛丑扈從一等功臣)과 수복경성이등공신(收復京城二等功臣)에 각각 봉해졌다.

한편, 공민왕을 반대하던 최유(崔濡)가 원나라에서 음모를 꾸며 왕을 폐하고 덕흥군(德興君)을 세워 요양(遼陽)의 군사를 이끌고 고려를 쳐들어온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이에 대비하기 위하여 홀면(忽面, 삼수갑산 지방 부근) 병마사로 임명되어 출동하였다.

1364년(공민왕 13) 여진족의 삼선(三善)·삼개(三介)의 무리들이 동북면에 침입하자 지병마사(知兵馬事)로 임명되어, 도지휘사(都指揮使) 한방신(韓方信)을 보내 삼관(三關)·홀면(忽面) 방면을 방어하도록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전이도의 열전(列傳)이 『고려사』 권114에 실려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공민왕의 정치적 지향과 정치운영」(최연식,『역사와 현실』15, 1995)
「홍건적의 침입에 관한 고찰」(김정의,『군사』17, 198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