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성 3·1운동 ( )

목차
근대사
사건
1919년 3·1운동 때 평안북도 창성군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
목차
정의
1919년 3·1운동 때 평안북도 창성군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
내용

창성읍에서는 3·1운동 전에 이미 이승훈(李昇薰)으로부터 직접 연락의 줄이 닿아 있었다. 이승훈은 서울에서의 독립만세운동계획이 무르익어갈 무렵, 산악지대 동포들도 이 민족적 거사에 참여하여야 된다고 생각하여 의주군 월화면 교회목사 송문정(宋文正)을 창성에 밀파하였다.

창성읍내 교회장로이던 강제희(康濟羲)는 이승훈의 밀지를 전하여 받고, 강정식(康貞植)·전봉재(全鳳梓) 등과 만나 거사계획을 세워 4월 1일 읍내와 각 면에서 동원된 약 2,000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이 때 출동한 일본군 50여 명은 헌병과 합세하여 무차별 사격을 감행함으로써 박찬소와 강정식이 총탄에 맞아 즉사하고, 4·5명이 중상을 입었다.

시위군중은 해산되고 강제희는 이봉근(李鳳根)의 도움으로 4월 2일 만주로 망명하여 계속 독립운동을 하였다. 한편, 동창면 대유동에서는 4월 1일 약 1,000명의 군중이 모여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였고, 4월 4일에는 천도교인이, 5일에는 기독교인이 중심이 되어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청산면 학송리에서는 4월 5일 천도교인과 기독교인이 연합하여 만세시위운동을 벌이다가 헌병대와 충돌하여, 사망자 6명, 부상자 25명이 발생하였고, 청산면 청룡리에서도 4월 6일 천도교인 70여 명이 만세시위운동을 벌이다가 헌병대와 충돌하여, 사망자 7명, 부상자 5명을 내었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자료집』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독립운동사』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집필자
김진봉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