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경 ()

수우당실기
수우당실기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기축옥사로 인해 정여립과 함께 역모를 꾸민 주동자로 무고되어 처형된 학자.
이칭
효원(孝元)
수우당(守愚堂)
이칭
최삼봉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29년(중종 24)
사망 연도
1590년(선조 23)
본관
화순(和順)
출생지
서울
주요 관직
사축
관련 사건
기축옥사
정의
조선 전기에, 기축옥사로 인해 정여립과 함께 역모를 꾸민 주동자로 무고되어 처형된 학자.
개설

본관은 화순(和順). 자는 효원(孝元), 호는 수우당(守愚堂). 서울 출생. 전라도관찰사 최중홍(崔重洪)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교하현감 최훈(崔壎)이고, 아버지는 병조좌랑 최세준(崔世俊)이다. 어머니는 현감 손준(孫濬)의 딸이다. 조식(曺植)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학문에 재질을 보였으며, 여러 번 초시에 합격했으나 복시(覆試)에서 실패하였다. 학행으로 1572년(선조 5) 경주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이듬해 주부에 제수되었으나 역시 나가지 않았고, 연이어 수령·도사·장원(掌苑) 등의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다.

당시 안민학(安敏學)이 자주 찾아와 정철(鄭澈)을 칭찬하고 만나볼 것을 권했지만, 단호히 거절하였다. 1575년 선대의 전장(田庄)이 있는 진주의 도동(道洞)으로 은거하였다. 마침 나라에서 사축(司畜)에 제수하고 그를 부르자, 잠시 나가 취임했다가 곧 그만두었다.

정구(鄭逑)·김우옹(金宇顒)·오건(吳健)·하항(河沆)·박제인(朴齊仁)·조종도(趙宗道) 등과 교유하며, 절차탁마(切磋琢磨)하였다. 1576년 덕천서원(德川書院)을 창건하여 스승 조식을 배향하였다.

이듬해에는 외아들 최홍렴(崔弘濂)이 죽는 불행을 겪었다. 1581년 사헌부지평에 임명되었으나 사직소를 올리고 나가지 않았다. 이 상소에서 붕당의 폐단을 논하였다.

1585년 『소학』·사서(四書)의 언해를 위한 교정청낭청(校正廳郎廳)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1590년 정여립 역옥사건(鄭汝立逆獄事件)이 일어나자 그는 유령의 인물 삼봉(三峯)으로 무고되어 옥사(獄死)하였다. 당시 정적 정철과의 사이가 특히 좋지 않아 그의 사주로 죽은 것으로 의심을 받았다.

그러나 1591년 신원(伸寃: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줌)되어 대사헌에 추증되고, 사제(賜祭)의 특전이 베풀어졌다. 1611년(광해군 3) 산청의 덕천서원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남명집(南冥集)』
『내암집(來庵集)』
『기언(記言)』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동유사우록(東儒師友錄)』
『석담일기(石潭日記)』
『수우당실기(守愚堂實紀)』
『대동야승(大東野乘)』
집필자
송찬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