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란 (quṙān)

목차
관련 정보
코란
코란
신종교
문헌
예언자 무하마드(Muhammad)에게 전하여진 알라의 계시 내용을 집대성한 이슬람교경전.
이칭
이칭
코란, 쿠란
목차
정의
예언자 무하마드(Muhammad)에게 전하여진 알라의 계시 내용을 집대성한 이슬람교경전.
내용

『꾸란』 자체의 기록에 의하면 『꾸란』의 계시는 신의 언어 자체이나, 종교학자들에 의하면 『꾸란』은 주5종교적 체험의 기록이다.

계시는 610년부터 632년 무하마드가 죽을 때까지 간헐적이고 단편적으로 나타났으며, 무하마드의 생존시에는 구두로 전승되다가 차차 문자화되어 나무조각이나 동물의 뼈 등에 기록되었다. 현재의 『꾸란』은 3대 할리파인 우스만(644∼656) 재위중에 편집되어 정본(正本)으로 인정된 것이다.

모두 114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1장인 개경장(開經章)을 제외하고 2장부터는 내용이 긴 장부터 짧은 장의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또, 『꾸란』을 메카장과 메디나장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메카장은 무하마드가 메카에서 활동하던 때의 계시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의 은총과 경고가 주된 내용으로 되어 있다.

메디나장은 무하마드가 메디나에서 주1의 지도자로 군림하던 시절의 계시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용은 신의 명령의 절대성, 종교적 의식, 사회생활의 규범 및 정치 등에 관한 것이다. 메카장은 대개 길이가 짧고 간결하며 주2형식의 운문으로 되어 있고 『꾸란』의 뒷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메디나장은 서언형식이 아니라 완만한 산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가 길다. 『꾸란』의 각 장은 대개 일관된 줄거리가 없는데, 이는 신의 계시가 상황에 따라 그때그때 이루어졌고, 무하마드가 죽은 뒤 내용의 수정 없이 그대로 배열되었기 때문이다.

무슬렘들은 『꾸란』이 인간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신의 말씀이라는 것을 굳게 믿고 있기 때문에, 내용에 모순된 것이 있더라도 상관없이 절대적인 것으로 여긴다. 『꾸란』은 원칙적으로 다른 나라 언어로 번역될 수 없어서 외국어로 번역될 때는 『꾸란』이라 하지 않고 『꾸란』의 해설, 즉 『타프시르(Tafsir)』라고 한다. 이 『타프시르』는 1143년 주3 번역을 시작으로 하여 수많은 번역서가 나와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6 · 25전쟁터키 군인에 의하여 선교가 시작된 이래, 중동붐을 거치면서 주4가 건립되고, 신도수가 증가함으로써 『꾸란』 번역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현재 『꾸란』의 완역본으로는 『성꾸란』(1983) · 『꾸란 해설』(1988) · 『꾸란의 이해』(1990) 등이 있다.

참고문헌

『성꾸란』(김용선 역주, 박영사, 1983)
『꾸란해설』(최영길 역, 송산출판사, 1988)
『코란의 이해』(김용선, 민음사, 1990)
주석
주1

정치와 종교가 일치한다는 사상. 또는 그런 정치 형태. 고대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우리말샘

주2

맹세하는 말. 우리말샘

주3

인도ㆍ유럽 어족(語族)의 하나인 이탤릭 어파(語派)에 속하는 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에스파냐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등의 로맨스어의 근원이 되었다. 그리스어와 함께 전문 용어의 원천이 되었으며 아직도 로마 가톨릭교회의 공용어로 쓴다. 우리말샘

주4

이슬람교에서, 예배하는 건물을 이르는 말. 집단 예배를 보는 신앙 공동체의 중심지로 군사, 정치, 사회, 교육 따위의 공공 행사가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주5

이슬람교의 창시자(570?~632). 메카(Mecca) 교외의 히라(Hira) 언덕에서 신의 계시를 받아 유일신 알라에 대한 숭배를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정치적, 역사적으로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장석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