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탁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대사헌, 이조판서, 함경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여로(汝魯)
시호
정헌(靖獻)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59년(영조 35)
사망 연도
1817년(순조 17)
본관
청주(淸州)
출생지
원주
주요 관직
한성판윤|황해도관찰사|대사헌|이조판서
정의
조선 후기에, 대사헌, 이조판서, 함경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여로(汝魯). 원주 출신. 한사득(韓師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광계(韓光肇)이고, 아버지는 한중유(韓重裕)이며, 어머니는 박성원(朴成源)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생원이 되어 1790년(정조 14) 원자정호경과(元子定號慶科)에 병과로 급제하고 문신강제(文臣講製)에 뽑혔다. 이듬해 충청도도사로 참시관(參試官)이 되었는데, 과장(科場)에서의 난동을 제지하지 못해 파직되었다.

1794년 홍문록(弘文錄: 홍문관의 제학이나 교리를 선발하기 위한 제1차 인사기록)에 오르고 곧 장령이 되어 사치 풍조를 없애고 재정을 확충할 것과, 백성들에게 억울한 일이 없는지 두루 살필 것을 왕에게 상소하였다.

1799년 수찬이 되고, 1801년(순조 1) 경상도 창원·하동 등지에 괘서(掛書: 이름을 드러내지 않고 게시하는 글)를 한 범인과 그 관련자를 처리하기 위해 안핵사(按覈使)로 파견되었다.

이듬해 동래부사로 임명되었으나 전일에 안핵사로 파견되었던 그가 관찰사 휘하의 수령으로 임명되는 것은 부당하다는 우의정 서용보(徐龍輔)의 주장에 따라 취소되었다. 대신 실록청당상에 이어 강화유수가 되었다.

때마침 기근이 혹심하매 진휼을 위해 조정에 공명첩(空名帖) 300장을 진휼 자금으로 요구해 허락받았다. 1804년 이조참판, 이듬해 예조참판에 이어 다시 이조참판을 거쳐, 1806년 공조판서가 되었다. 1807년 형조판서가 되어 맹인으로 사형수가 된 김대성(金大成)이 폐질인(廢疾人)임을 들어 감형을 진언, 정배(定配)하게 하였다.

1809년 한성판윤이 되고, 1812년 황해도관찰사를 거쳐, 이듬해 대사헌이 되어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예조판서·대사헌·이조판서 등을 차례로 역임하고, 1816년 함경도관찰사로 나가 이듬해 임지에서 졸하였다. 시호는 정헌(靖獻)이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