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거세거서간 ()

삼국사기(권1) / 혁거세 거서간
삼국사기(권1) / 혁거세 거서간
고대사
인물
신라의 제1대(재위: BCE.57~CE.4) 왕.
이칭
이칭
박혁거세(朴赫居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기원전 69년
사망 연도
4년(혁거세거서간 61)
출생지
신라 경주
주요 관직
신라 제1대 국왕(재위: 기원전 57년∼기원후 4년)
내용 요약

혁거세 거서간은 삼국시대 신라의 제1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 57~기원후 4년이다. 신라 박씨의 시조로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건국신화가 전하며 일반적으로 박혁거세라 칭한다. 사로 6촌의 세력을 규합하여 사로국을 세워 국가의 기틀을 마련했다. 기원전 37년에 경주에 금성을 쌓고 궁실을 지었다. 기원전 28년에 낙랑이 침범했다가 물러갔고, 기원전 20년 마한 왕이 공물을 보내지 않는다고 노하자 호공을 사신으로 보냈다. 이후 마한 왕이 죽자 조문 사신을 파견했다. 기원전 5년에 동옥저의 사신이 말 20필을 바치기도 했다.

정의
신라의 제1대(재위: BCE.57~CE.4) 왕.
개설

신라 박씨(朴氏)의 시조이다. 일반적으로 박혁거세(朴赫居世)로 지칭한다. 사로 6촌장(六村長) 세력을 규합하여 사로국(斯盧國)을 세웠으며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생애 / 활동사항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다음과 같은 건국신화(建國神話)가 있다.

“서기전 69년 3월 1일 당시 사로 6촌(斯盧六村)의 촌장(村長)들이 자제를 거느리고 알천(閼川) 언덕 위에 모였다. 그들은 임금을 모시어 나라를 세우고 도읍을 정할 것을 논의하고 있었다. 이 때 양산(楊山) 밑 나정(蘿井)이라는 우물 근처에 신기한 빛이 하늘에서 땅에 닿도록 비추고 있었다.

그리고 흰말〔白馬〕 한 마리가 꿇어앉아 절하는 형상을 하고 있었다. 거기에는 커다란 알이 하나 있었다. 말이 하늘로 날아가자 사내아이가 알을 깨고 나왔다. 그런데 모양이 단정하고 아름다웠다. 동천(東泉)에 목욕시켰더니 몸에서 광채가 나고 새와 짐승들이 춤을 추었다. 이 아이가 박혁거세이다.

알의 크기가 박[瓠]과 같아 성을 박(朴)이라 하였다. 또한, 그 광채로 인해 이름을 혁거세 혹은 불구내(弗矩內)라고 하였다. 고허촌(高墟村) 촌장인 소벌공(蘇伐公: 蘇伐都利)이 데리고 가서 길렀다. 6촌의 촌장들은 신비롭고 기이하게 여겨 존경하였다.

나이 13세가 되자 이들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었다. 이 때 왕의 칭호는 거서간 또는 거슬한(居瑟邯)이라 하였다. 또한, 나라이름을 서나벌(徐那伐) · 서라벌(徐羅伐) · 서벌(徐伐) 혹은 사라(斯羅) · 사로(斯盧)라 하였다. 그리고 서기전 53년(혁거세거서간 5) 알영(閼英)을 비(妃)로 맞아들였다.”

이 건국신화는 주1 단계를 반영하는 것이다. 즉, 6촌장이란 이미 신라의 개국(開國) 이전에 나뉘어 살았던 고조선(古朝鮮)의 유민들이었다. 따라서, 토착 세력을 압도한 주2 박씨 집단을 상정할 수 있다.

박씨 집단은 말[馬]및 천신하강(天神下降)의 모티브로 볼 때, 이들은 말을 토템으로 하는 천신족(天神族)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혁거세 · 불구내 등이 광명을 의미한다는 데서도 그들의 ‘태양숭배사상’을 엿볼 수 있다.

이들은 이미 개국연대 이전부터 경주 지역에 이주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개국연대가 전한 효선제 오봉 원년 갑자(前漢 孝宣帝 五鳳 元年 甲子: 서기전 57)라는 설은 문제가 있다.

첫째, 『삼국사기』가 신라중심의 관점에서 신라의 건국을 고구려(高句麗)나 백제(百濟)보다 먼저 잡은 것이 그러하다. 둘째, 갑자년이라는 간지(干支)가 주3주4에 입각한 듯하기 때문이다.

혁거세는 서기전 37년 경주에 성을 쌓아 금성(金城)이라 하였다. 또한, 서기전 32년에는 금성에 궁실을 지었다. 이 단계의 사로국은 대체로 경주평야를 벗어나지는 못한 것 같다.

서기전 28년 주5이 침범해 왔다. 그러나 국경에 있는 백성들이 밤에도 문을 잠그지 않으며 곡식더미가 들에 즐비한 것을 보고 ‘도덕(道德)의 나라’라 하고 스스로 물러갔다.

서기전 20년 마한(馬韓) 왕이 공물(貢物)을 보내지 않는다고 노하자, 그 해에 호공(瓠公)을 마한에 사신으로 보냈다.

서기전 19년 마한 왕이 죽자 사신을 보내어 조위(弔慰)하였다. 서기전 5년에는 동옥저(東沃沮)에서 보낸 사신이 와서 말 20필을 바치기도 하였다. 승하한 뒤 사릉(蛇陵)에 장사지냈다.

상훈과 추모

『삼국사기』 제사지(祭祀志) 신라조(新羅條)에 따르면, 남해왕(南解王: 南解次次雄) 3년에 세운 시조묘(始祖廟)의 주신(主神)은 혁거세이고, 사시(四時)에 제사하였으며, 남해왕의 누이인 아로(阿老)가 제사를 맡았다.

시조묘 제사는 왕이 즉위한 해나 다음 해의 정월(正月)이나 2월에 왕의 친사(親祀)로 거행되었고, 또 유사시에 거행되기도 하였다. 시조묘 제사의 대상 신인 혁거세는 왕실의 시조왕이자 나아가 신라 지역 전체의 관념적 시조신이었다.

이에 박 · 석 · 김의 3성(三姓)이 교립(交立)하던 신라 상고기(上古期)는 물론 신라 하대(下代)에 이르기까지 혁거세가 시조묘 제사의 제사대상이 될 수 있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고대한국의 국가와 제사』(최광식, 한길사, 1994)
「신라 초기(新羅 初期) 왕(王)의 성격(性格)과 제사(祭祀)」(나희라, 『한국사론(韓國史論)』23, 1990)
『한국사강좌(韓國史講座)-고대편(古代篇)-』(이기백·이기동 공저, 일조각(一潮閣), 1982)
『신라상대왕위계승연구(新羅上代王位繼承硏究)』(이종욱, 영남대학교출판부, 1980)
『한국고대사회연구(韓國古代社會硏究)』(김철준, 지식산업사(知識産業社), 1975)
『神話と文化史』(『三品彰英論文集』, 平凡社, 1971)
『新羅史の諸間題』(末松保和, 東洋文庫, 1954)
『新羅史硏究』(今西龍, 國書刊行會, 1933)
주석
주1

원시 국가에서 고대 국가로 발전하는 과도기적 단계에 존재하던 국가. 서양의 도시 대신에 한국 역사서에 자주 등장하는 성읍의 개념을 빌려 부른 것이다.    우리말샘

주2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떠돌다니며 사는 사람.    우리말샘

주3

고대 중국에서, 음양오행설에 의하여 인간 사회의 길흉화복을 예언하던 학설.    우리말샘

주4

간지(干支)가 한 바퀴 도는 60년마다 국가적 변혁이 일어난다는 사상. 중국 한(漢)나라에서 유행한 참위설에 근거한 사상이다. 왕조의 교체와 정치 개혁을 설명ㆍ예언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우리말샘

주5

한사군(漢四郡) 가운데 청천강 이남 황해도 자비령 이북 일대에 있던 행정 구역. 기원전 108년에 설치되어 그 뒤 여러 번 변천을 거듭하다가 미천왕 14년(313)에 고구려에 병합되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