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도 천연보호구역 ( )

목차
관련 정보
홍도 천연보호구역
홍도 천연보호구역
식물
지명
국가유산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에 있는 천연보호구역.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홍도 천연보호구역(紅島 天然保護區域)
분류
자연유산/천연보호구역/문화및자연결합성/경관및과학성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1965년 04월 07일 지정)
소재지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 1번지 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에 있는 천연보호구역.
내용

1965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면적 5,867,640㎡. 홍도는 본도와 20여 개의 속도(屬島)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안선의 길이가 20.8㎞밖에 되지 않는 작은 섬인데,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홍도는 드물게 보는 절경을 이루고 있는데, 그것은 섬을 구성하는 암석의 특이성과 지질구조 및 침식의 정도에서 온다. 암석은 극소 부분을 제외하면 사암(砂岩)과 그것이 변질된 규암(硅岩)이다.

섬 전체가 하나의 배사구조(背斜構造)를 이루고 있다. 섬의 주능선(主稜線)이 배사축(背斜軸)에 해당하고 주능선 양측 산허리는 배사구조의 양 날개에 해당한다. 사암과 규암에는 층리(層理:암석의 겹친 상태)와 절리(節理:틈새)가 잘 발달되었으며, 절리는 거의가 수직적이다. 이것이 또한 이 섬의 절경을 나타나게 한 하나의 요인이다.

도처의 해안과 서북부에 흩어져 있는 10여 개의 속도가 절경을 이루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고, 섬의 동쪽해상에 솟아 있는 많은 석주(石柱)들도 모두 이 때문에 형성된 것이다. 끊임없이 작용하는 파도의 침식작용도 이 섬의 절경을 나타나게 한 또 하나의 요인이다. 해안 도처에서 볼 수 있는 수많은 동굴과, 전마선(傳馬船:주로 연락용으로 쓰는 작은 배)이 자유로 드나들 수 있는 문바위섬 · 구멍바위 등은 모두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형성된 것이다.

또, 해식작용(海蝕作用)으로 파괴된 바위조각은 오랜 세월 파도가 밀려가고 밀려오는 동안에 현재 이 섬의 해변 도처에서 보는 아름답고 크고 작은 원력(圓礫:모난 곳이 둥글게 된 조약돌)이 된 것이다. 또한 홍도의 절경은 변화가 많은 암석의 색채에서도 비롯된다. 자색층과 백색층의 조화로운 배열이 그것이다. 이 섬 생성시대의 파도의 흔적이 연흔(漣痕:파도 모양의 흔적)으로 남아, 이 섬의 여기저기에서 볼 수 있는 것도 특기할 만한 사실이다.

식물로는 양치식물(羊齒植物:고사리식물) 20종, 나자식물(裸子植物:겉씨식물) 3종, 피자식물(被子植物:속씨식물) 233종이 알려져 있다. 이 섬의 일부에서는 원시림에 가까운 상태의 숲을 볼 수 있다. 1구(區) 마을과 2구 마을에서 보는 당산림(堂山林:마을근처의 산에 조성된 숲)이 그것이다.

1구의 당산림은 상록활엽수 16종, 낙엽활엽수 27종으로 구성되며, 2구의 당산림은 상록활엽수 24종, 낙엽활엽수 30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구실잣밤나무와 동백나무 등의 우세한 상록활엽수림은 우리 나라 서남부 도서지방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것이다.

이 섬에서 식물상이 가장 좋은 곳은 설풍서곡(雪風嶼谷)이다. 식나무의 대군은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장관이고, 흰동백이 이 계곡의 하반부에 자생하고 있는 것도 이색적이다. 표고 100m 이상의 사면과 산등의 숲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홍도선달취는 홍도 이외의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진귀한 식물이고, 홍도까치수염은 우리 나라 특산종은 아니지만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종이다.

갯보리와 같은 북방계 분자가 이 섬에서 자생하고, 난과식물(蘭科植物)이 풍부하다. 특히, 제주도와 이 섬에서만 산출되는 나도풍란이 아직도 이 섬에 남아 있는 것이 주목된다. 이엉을 엮어서 지붕을 덮을 만큼 본춘화와 띠가 많은 것도 매우 이색적이다.

육상동물로 알려진 것은 복족류(腹足類) 4종, 다족류(多足類) 2종, 곤충류 165종, 파충류(뱀) 4종, 조류 55종, 포유류 1종 등이다. 홍도의 육상동물은 남방계가 많은 것이 특색이다. 나비의 예를 들면, 북방계가 14종인 데 비하여 남방계가 11종이다. 한국산 나비 전체의 구성은 북방계와 남방계의 비가 5.5:1인데 이 섬의 경우는 거의 5:4가 된다. 조류도 남방계가 54종인데 북방계는 11종에 지나지 않는다.

홍도산 곤충 중 12종은 우리 나라 미기록종(未記錄種)이다. 특히, 남색남방공작나비는 제주도와 이 섬에 소수가 서식하고 있는 희귀종이다. 홍도는 철새의 이동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쇠검은머리쑥새 · 북방검은머리쑥새 · 검은머리쑥새 등의 대혼성군(大混成群)이 이동하는 도중에 이 섬에 기류(寄留)한다. 이런 현상은 내륙지방에서는 볼 수 없는 광경이다.

홍도산 새 중에서 흑비둘기 · 염주비둘기 · 흑로 · 가마우지 · 쇠가마우지 · 괭이갈매기 · 원앙이 등은 특히 보호할 가치가 있는 종들이다. 홍도의 바다는 물이 맑고 풍부한 생물상을 보유하고 있는 훌륭한 야외수족관으로 무척추동물 117종, 어류 233종 등이 알려져 있다. 대부분 외양성(外洋性)이고 난해성(暖海性)이다.

참고문헌

『한라산 및 홍도(紅島)학술조사보고서』(박만규·최기철 등, 문화공보부, 1968)
『문화재대관-천연기념물편-』(문화재관리국, 1993)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