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방비곡 ()

목차
관련 정보
흑방비곡 / 박종화
흑방비곡 / 박종화
현대문학
문헌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박종화의 시 「밀실로 돌아가다」 · 「만가」등을 수록하여 1924년에 간행한 시집.
정의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박종화의 시 「밀실로 돌아가다」 · 「만가」등을 수록하여 1924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B6판. 본문 224면. 1924년 6월 조선도서주식회사(朝鮮圖書株式會社)에서 간행하였다. 작자의 첫 시집으로 박영희(朴英熙)의 서(序)와 작자의 자서(自序)가 있고 총 55편의 작품을 5부로 나누어 수록하였다.

내용

‘흑방비곡’편에 「밀실로 돌아가다」·「만가(挽歌)」 등 9편, ‘오뇌의 청춘’편에 「붉은 미친 여름이 오면은」·「오뇌의 청춘」 등 17편, ‘자화상’편에 「자화상」·「추한 자야 무엇을 웃느뇨」 등 13편, ‘푸른 문으로’편에 「자금(紫金)의 내 울음은」·「푸른 문으로」 등 6편, ‘정밀(靜謐)’편에 「정밀」·「애도아창(愛道雅唱)」 등 10편이 실려 있으며, 부록으로 시극 「죽음보다 압흐다」가 수록되어 있다.

시극 「죽음보다 압흐다」는 화가 방태한(方台翰)과 기생 김주(金珠)와의 이룰 수 없는 사랑을 일막극 형식으로 극화한 작품이다. 박영희가 서문에서 “피곤한 생(生)이란 폐허에서 미로(迷路)하는 사람들 가슴속에 감추인 것을 노래하였으며, 비통한 눈물을 흘리는 자를 애무하는 인도적 비곡(祕曲)을 노래하였다.”고 평하였듯이, 염세적이고 감상적인 탐미주의적 의식이 이 시집 전체를 관통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좌절과 패배, 허무와 감상이 지배하던 당대의 암울한 시대적 분위기를 작가의 의식세계를 통하여 그대로 투영한 작품이다. 죄악과 고뇌와 누추(陋醜)한 현실과 대립하여 성결(聖潔)한 진리를 찾고자 하였던 작가는 미지의 세계로, 죽음의 세계로 나아간다. 그러나 밀실과 흑방으로 대표되는 죽음의 세계이며 관능적 탐닉의 세계인 폐쇄공간에서 작가는 ‘참’이라는 구제의 길을 찾지 못하고 미로를 헤매며 좌절을 노래한다.

미래의 가능성으로부터 단절로 인한 절망의식은 이른바 백조파(白潮派) 시인들을 감상적 자기탐닉이라는 부정적 감정에 안주하게 만든 장본인이다. 이에 박종화는 자신의 고뇌가 지극히 고통스러움에도 불구하고, 관념적 추상성을 벗어나지 못하자 소설로 장르 전환을 꾀함으로써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려 하였다.

이 시집에서 볼 수 있는 현실에 대한 좌절감과 출구를 찾지 못하는 들끓는 열정을 표하는 퇴폐적·허무적·감상적 방향성은 1920년대 전반의 우리 시의 주조적 흐름을 드러내주는 대표적인 예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시연구(韓國現代詩硏究)』(김용직, 일지사, 1974)
『한국현대문학사(韓國現代文學史)』(조연현, 현대문학사, 1956)
『조선신문학사조사(朝鮮新文學思潮史)』(백철, 수선사, 1948)
「1920년대 초기시(初期詩)의 낭만적(浪漫的) 상상력(想像力)과 그 역사적(歷史的) 성격(性格)」(김흥규, 『한국학논집』6, 계명대학교한국학연구소, 1979)
「백조파(白潮派)와 낭만주의(浪漫主義)」(신동욱, 『월간문학』, 1974.10)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