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득평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전라도안찰사, 민부의랑, 선부전서 상호군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전주(全州)
출생지
전라북도 전주
주요 관직
전라도 안찰사|민부의랑|선부전서 상호군
정의
고려 후기에, 전라도안찰사, 민부의랑, 선부전서 상호군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아버지는 좌우위 중낭장(左右衛中郎將) 최정신(崔正臣)이다. 봉익대부(奉翊大夫)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감찰대부(監察大夫) 문한학사승지(文翰學士承旨) 세자원빈(世子元賓) 곽예(郭預)의 딸과 혼인하여 1303년(충렬왕 29) 아들 최재(崔宰)를 낳았다. 최재는 대광(大匡)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졌다.

생애 및 활동사항

성품이 청렴(淸廉)하고 공정함을 스스로 지켰으므로 사람들이 공경하고 두려워하였다. 충렬왕·충선왕·충숙왕 세 임금을 두루 섬겼는데 충선왕이 최득평을 그릇으로 여겨 더욱 중하게 대하였다. 최득평이 대관(臺官: 관리를 감찰하는 관리)에 있으면 기강이 섰고, 형부(刑部)에 있으면 형벌이 간결해졌다고 한다. 김해(金海)·상주(尙州)의 수령과 전라도 안찰사(全羅道按察使)를 역임하였다.

1314년(충숙왕 1) 2월 지밀직사(知密直事) 채홍철(蔡洪哲)을 오도순방계정사(五道巡訪計定使)로 삼아 양전(量田)을 하고 부세를 정할 때 최득평은 민부의랑(民部議郞)으로 판관(判官)이 되어 참여한 바 있다. 벼슬은 통헌대부(通憲大父) 선부전서(選部典書) 상호군(上護軍)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역주『고려사』식화지』(권영국 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최재묘지명」(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출판부, 2006)
「부록: 〈별표 1〉 고려후기 세족가문의 세계도 13 전주최씨」(김광철, 『고려후기 세족층연구』, 동아대출판부, 1990)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