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개설(國語史槪說)
개정판의 체재는 전반적으로는 초판과 비슷하나 서론, 국어의 계통, 국어의 형성, 문자체계, 고대국어, 전기중세국어, 후기중세국어, 근대국어, 현대국어 등의 9장으로 짜여졌다. 초판의 제2장이 ‘국어의 계통’과 ‘국어의 형성’으로 나뉘었고, ’문자체계‘가 새로 추가되었으며, 중세국어를 전기와 후기로 장을 달리하였다. 부록으로 참고문헌의 해설을 중심으로 한 주(註)가 장에 따라 제시되었고 색인이 첨부되었다. 초판과 개정판 사이에는 서술의 내용상에 있어서도 많은 변모가 있는데, 이는 그 동안의 많은 국어사연구가 이루어졌음에 따른 것이다. 특히, 중세국어의 서술이 전체의 5분의 2를 차지하고 있음은 바로 중세국어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에서 비롯된 것이다. 대학강좌의 교재로 집필되었음에도 대학생 이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