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풍군 ()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
인문지리
지명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
개관

동쪽은 장단군, 서쪽은 예성강을 사이에 두고 황해도의 연백군, 남쪽은 임진강 · 한강을 경계로 김포시 · 파주시, 북쪽은 황해도의 금천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22′∼128°40′, 북위 37°45′∼38°10′에 위치하며, 동서길이 약 27.3㎞, 남북길이 약 46.7㎞, 면적 744.6㎢, 인구 약 9만1697명(1944년 현재)이다. 14개 면 90개 이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개성시 남산동이다.

개풍군의 자연환경

지세는 마식령산맥의 말단이 군의 북부에까지 미침으로써 많은 잔구가 솟아 산간지역을 이루고 있으며, 남부는 예성강과 임진강의 하류지역으로 평야가 이루어져 있다. 대표적인 산으로는 천마산(天磨山, 762m) · 송악산(松嶽山, 488m) · 화장산(華藏山, 560m) · 봉명산(鳳鳴山, 411m) · 극락산(極樂山, 471m) 등이 있으며, 남부의 평야지역은 토지가 비옥해 농경지로 이용된다.

북부 산지에서 남부 평야지대로 이행하는 곳에 고려의 옛 도읍지인 송도(松都)가 위치하고 있다. 기후는 북부 산지와 남부 평야지대가 상당히 다르게 나타나, 평야지역은 산간지역에 비해 대체로 기온이 온화하고 강우량도 많으나, 산간지역은 한서의 교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나타낸다. 연평균기온은 10.4℃, 1월 평균기온 -6.2℃, 8월 평균기온 25.3℃로 연교차가 30℃에 달한다. 연강수량은 1,253㎜이다.

개풍군의 역사

고대의 개풍군

구석기시대 사람이 살았던 흔적은 발견된 바가 없으나, 남면 율응리에서 신석기시대 유물인 간돌화살촉이, 대성면 구읍리와 장석현에서 고인돌이, 가좌동에서 선돌이, 중서면 선릉리에서 돌도끼, 청교면 양릉리에서 토기와 석기 등이 각각 출토된 것으로 보아, 이 지방에도 개성시와 마찬가지로 신석기시대 이후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믿어진다.

현재의 개풍군 일대는 고구려시대의 동비홀(冬比忽) · 덕물현(德勿縣) · 정주지역(貞州地域)이며, 신라가 이 지역을 장악한 이후 756년(경덕왕 15)에 동비홀은 개성군(開城郡)으로, 덕물현은 덕수현(德水縣)으로 개칭되었다. 후삼국시기에 와서는 이 지방의 호족인 왕륭(王隆)의 근거지가 되었다.

고려시대의 개풍군

개풍지방을 중심으로 세력을 떨친 왕륭의 아들 왕건이 고려를 건국해 고려의 도읍지가 되었고, 예성강 하류의 벽란도(碧灡渡)는 선박의 출입이 자유로워 항으로 발달, 중국 · 일본 · 남양(南洋) · 서역과의 국제적 무역항구로 번영하였다.

왕건은 919년(태조 2) 철원에서 송악(松嶽)으로 도읍을 옮기고 개성군을 병합해 읍호를 개주(開州)로 부르다가, 995년(성종 14) 다시 개성부(開城府)로 고쳤다. 따라서 고려시대의 개성이라는 명칭은 신라시대 개성군보다 지역적으로 확장된 개념이다.

1018년(현종 9) 개성부를 없애고 현령을 두고 덕수 · 강음(江陰) · 정주 등 3현을 관리하게 하는 한편,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직속시켰다. 1062년(문종 16) 개성부로 승격되면서 우봉군(牛峯郡)을 개성부에 편입시켰으며, 정주는 1108년(예종 3)에 승천부(昇天府)라고 하고 지부사(知府事)를 두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는 해풍군(海豐郡)으로 강등시켰다.

덕수현에는 1389년(공양왕 1)에 감무를 두었으며, 1231년(고종 18)∼1270년(원종 11)의 대몽항쟁기간 동안 도읍이 강화도로 옮겨짐에 따라 개성은 40년간 폐허화되는 비운을 겪기도 하였다. 1390년 경기도를 좌도와 우도로 나눌 때 개성현은 우도에 속했다.

조선시대의 개풍군

1393년(태조 2) 반월성(半月城)이 축조되었고, 1394년 도읍이 한양으로 옮겨졌다. 1442년(세종 24) 해풍군은 덕수현과 합쳐져 풍덕군(豐德郡)이 되었다. 1650년(효종 1) 풍덕도호부로 승격되었던 적이 있으며, 1823년(순조 23) 부가 폐지되면서 개성부에 속하게 되었다. 1866년(고종 3) 다시 부로 독립되었다.

근대의 개풍군

1895년에 개성이 관찰부가 되면서 풍덕 또한 개성부의 관할이 되었다가, 1896년에 다시 환원되었다. 1914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덕군은 개성군에 병합되었다. 1930년개성군의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되면서 개성부에 편입되지 않은 지역은 개풍군으로 명명되었다.

현대의 개풍군

광복 후 북면 · 영남면 · 영북면 등이 북위 38°선 이북에 있어서 북한지역이 되고 그 밖의 지역은 남한지역이 되었으나, 1953년 7월 휴전협정에 따라 전지역이 북한에 편입되었다.

개풍군의 유물 · 유적

선사시대유물로는 신석기시대 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한편, 고려태조의 현릉(顯陵)을 비롯해 공민왕의 현릉(玄陵), 노국공주의 정릉(正陵) 등 왕과 왕비의 능 30기가 소재하고 있어, 고려왕조 도읍지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성지로는 개풍읍의 난산고성(卵山古城), 남면의 영안성(永安城), 흥교면 흥천리의 백마산성(白馬山城), 토성면의 토성지(土城址)가 있고, 청교면의 청교역지(靑郊驛址) · 보선정(步仙亭) · 호련대(扈輦臺) · 보정문지(保定門址) · 개국사지(開國寺址) · 수구문지(水口門址), 봉동면의 덕적산묘사(德籍山廟祠) · 덕물산성지(德物山城址) · 서적전지(西籍田址) · 천수원지(天壽院址) · 취적교(吹笛橋) · 보불교(普佛橋) · 흥왕사지(興王寺址) · 탑곡석탑(塔谷石塔), 중면의 덕수폐현지(德水廢縣址) · 백운사지(白雲寺址) · 창내리토성(倉內里土城), 상도면의 봉곡사지(鳳谷寺址), 임한면의 배남산고루지(背南山古壘址) · 해암진고적(蟹巖津古跡), 흥교면의 궁대곡(宮垈谷) · 유현(遊峴) · 백마산사(白馬山祠), 영북면의 망대(望臺) · 제석산묘(帝釋山廟), 서면의 운거사지(雲居寺址), 북면의 정자사지(正慈寺址) · 원통사지(圓通寺址), 영남면의 괴정지(槐亭址) · 백운정(白雲亭) · 탄현문지(炭峴門址) · 청석진지(靑石鎭址) · 폐탑지(廢塔址) · 적조사지(寂照寺址) · 지족암지(知足庵址) · 불일사지(佛日寺址), 북면의 여현진지(礪峴鎭址) · 보월사지(寶月寺址) 등이 있다.

조선 개국공신 조반(趙胖)의 재실인 조재궁(趙齋宮)과 세종조의 공신 윤필상(尹弼商)의 재실인 윤재궁(尹齋宮), 고려조 여진정벌의 공으로 재궁을 지어 봉제한 고후(高厚)의 고재궁(高齋宮), 병자호란 때 전사한 이유록(李幽祿)의 전공을 기리는 이재궁(李齋宮)과 국수봉(國樹峯)의 고운산사지(孤雲山寺址), 예성강 이포동 강변에 있었던 하목정지(霞鶩亭址) 등이 있다.

개풍군의 교육 · 문화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 서면 강리 강상동에 있는 개풍향교와 영남면 용암리에 있는 화곡서원(花谷書院), 1681년(숙종 7) 임한면 해암진에 창건한 구암서원(龜巖書院)을 들 수 있다.

개항 이후에 세워진 교육기관으로는 토성면의 토성공립심상소학교, 남면의 남창국민학교 · 율포국민학교 · 보흥강습소 · 배양강습소 · 신흥의숙, 서면의 광정국민학교, 청교면의 청교공립보통학교 · 웅천서당 · 흥문서당 · 냉정서당 · 송간서당, 봉동면의 동면보통공립학교 · 진봉공립보통학교, 중면의 한우물서당 · 송양의숙, 상도면의 봉양학교 · 양신학교 · 봉강의숙 · 상도국민학교와 마산서당 · 내촌서당 · 풍촌서당 · 국촌서당 · 양사서당 · 율능서당 · 백중서당 · 학곡서당과 동막학원 · 봉양학원 · 율능학원, 그리고 임한면의 명신학교 · 양진의숙 · 임한공립보통학교 · 정곳리간이학교, 흥교면의 흥교국민학교 · 영정국민학교 · 영정간이학교, 대성면의 풍덕공립보통학교 · 흥명서당, 광덕면의 광덕공립보통학교, 영남면의 영남국민학교, 영북면의 영북공립보통학교, 북면의 강남공립보통학교 · 북면공립보통학교 등이 있다.

개풍군의 산업 · 교통

주 산업은 농업으로 남부 평야지대에서는 논농사를 주로 하며, 북부 산간지대에서는 밭농사가 이루어진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 · 콩 · 보리 · 밀 · 수수 · 조 등이 있으며, 특히 콩은 품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특산물로는 인삼재배가 이루어져 생산량이 전국 제1위를 차지하며, 인삼밭 주인은 대부분 개성에 거주한다. 그 밖에 양계 · 양돈 · 과수재배 등이 발달하였다.

광공업으로는 금 · 중석 · 형석 · 석회석 등이 산출되며, 토성에서 석회제조업과 양조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상업활동은 예로부터 널리 알려진 개성상인의 본고장인 만큼 일찍이 발달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수도지역인 개성을 중심으로 주민을 위한 경시(京市)가 개설되어, 농수산물과 지방특산물의 거래가 이루어졌으며, 조선시대에 와서는 5일 정기장인 향시(鄕市)가 여러 지역에 개설되었다. 남면에는 5일과 10일에 가축시장과 농수산물시장이 열려, 주로 개성과의 거래가 이루어졌다. 흥교면의 기야리장은 우시장으로 유명하고, 중면에는 대룡장이 개설되어 농작물과 특산물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통은 1등도로가 경의선을 따라 이 군을 통과하고, 2등도로가 개성과 배천[白川]에 이르며, 3등도로가 개풍에서 여현(礪峴) · 도원리, 황해도 홍현(紅峴)으로 통하고 있다. 경의선이 남북으로 달리며, 봉동 · 토성 · 여현 등의 역이 설치되어 군 교통의 대동맥 구실을 한다. 토성역에서는 협궤 황해선이 황해도 해주 방면으로 분기한다. 수운은 예로부터 벽란도와 영정(領井) 등의 하항이 유명했으나 지금은 쇠퇴하였다.

개풍군의 읍 · 면

광덕면

광덕면(光德面)은 군의 서남부에 위치한 면. 면적 30.59㎢, 인구 4,892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고척리이다.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강화도와 마주보는 지역이다. 본래 풍덕군의 서면과 군중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두 면이 합쳐져 광덕면으로 개칭되고, 새로 개편된 개성군의 관내에 속하였다.

그 뒤 1931년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됨에 따라 개성군이 개풍군으로 개칭되면서 그 관내가 되었다. 광복 후 남한지역이었으나 한국동란 후 휴전협정의 결과 북한지역이 되었다. 전역에 100m 이하의 구릉이 산재하나 대체로 넓고 기름진 평야가 전개되어 경작지로 사용된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쌀 · 보리 · 밀 · 콩 · 팥 · 조 등을 생산하며, 특산물로 인삼이 재배된다. 교통은 등외도로가 중부를 동서로 횡단했을 뿐이지만, 개성시에 가까워 불편하지는 않다.

유적으로는 중련리의 13층석탑이 있었던 경천사지(敬天寺址), 사분리의 절터 등이 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고척(高尺) · 중련(中連) · 광덕(光德) · 황강(黃江) · 사분(寺盆) 등 5개 이가 있다.

남면

남면(南面)은 군의 남서부에 위치한 면. 면적 44.75㎢, 인구 7,724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신리이다. 본래 개성군의 하남면과 상남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두 면을 합쳐 남면으로 개칭했고, 1931년 송도면(松都面)이 개성부로 승격됨에 따라 개성군이 개풍군으로 개칭되어 그 관내에 속하게 되었다.

광복 후 남한지역이 되었으나 한국동란 후 휴전협정의 결과 북한지역이 되었다. 동부는 50∼80m의 구릉으로 이어져 있으나, 서남부는 비교적 넓은 평야가 전개되며, 토지가 비옥해 농작물 경작에 적당하다.

주요 농산물은 쌀 · 밀 · 콩 · 조 · 대마 등이며, 특산물로 인삼이 생산된다. 북서부에는 신당광산의 일부가 있어 금 · 은 등이 채굴되며, 제조업으로는 조제리에 양조장이 있다. 북쪽 면 경계 부근을 따라 경의선이 지나가며, 2등도로가 경의선에 병행해 있고, 토성역 · 창릉리 · 수우리 등 주요 마을을 잇는 등외도로가 개설되어 교통은 불편하지 않다.

유적으로는 고려세조의 능이 있는 영안성이 창릉리에, 고려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빙고지(氷庫址)가 영안성 부근에 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2개교가 있다. 신(新) · 군은(軍隱) · 창릉(昌陵) · 후석(候石) · 율응(栗鷹) · 조제(照濟) · 옥산(玉山) · 장산(狀山) · 수우(修隅) 등 9개 이가 있다.

대성면

대성면(大聖面)군의 남부에 위치한 면. 면적 39.71㎢, 인구 6,461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풍덕리이다. 본래 풍덕군의 중면과 군내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두 면을 합쳐 대성면으로 개칭하고 새로 개편된 개성군의 관내에 속했으나, 1931년 송도면의 개성부로의 승격에 따라 개성군이 개풍군으로 개칭되자 그 관내에 들어가게 되었다. 광복 후 남한지역이었으나 한국동란 후 휴전협정의 결과 북한지역이 되었다.

동쪽 면계에 최고 200m 내외의 구릉이 많이 있으며, 남쪽에 백마산(白馬山, 191m)이 있을 뿐, 그 밖의 지역은 대체로 평지이다. 특히 중서부지역에는 넓고 기름진 평야가 전개되며, 남부 강안은 굴곡이 적은 사빈으로 되어 있다.

주민들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주로 쌀 · 보리 · 밀 · 콩 · 조 · 목화 등을 경작하고, 특산물로 인삼이 생산된다. 개성을 기점으로 하는 3등도로가 면의 거의 중앙부를 통과해 강안의 고군리에 이르며, 이 곳에서 배편으로 강화도의 양사면 철산리와 연결된다. 또한 풍덕리를 중심으로 각 주요 마을에 이르는 등외도로가 있어서 교통은 편리하다.

유적으로는 구읍리의 보법사지(報法寺址) · 돌미륵불 · 구문묘지(舊文廟址), 고군리의 성터, 풍덕리의 퇴하정지(退夏亭址) 등이 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풍덕(豐德) · 대성(大聖) · 신죽(新竹) · 구읍(舊邑) · 지내(池內) · 산귀(山歸) · 고군(古郡) · 삼달(三達) 등 8개 이가 있다.

봉동면

봉동면(鳳東面)은 군의 동부에 위치한 면. 면적 60.37㎢, 인구 9,275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봉동리이다. 본래 풍덕군의 진봉면과 옛 개성군의 동면지역으로, 1931년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됨에 따라 개편된 개풍군의 관내가 되었다가, 그 뒤 두 면을 합쳐 봉동면으로 개칭하였다.

광복 후 남한지역이었으나 한국동란 후 휴전협정의 결과 북한지역이 되었다. 서쪽에 진봉산(進鳳山, 310m)의 산줄기가 남북으로 뻗어내려 동남쪽에 덕물산이 솟아 있고, 북쪽에는 100m 내외의 구릉이 기복을 이루고 있으며, 그 밖의 지역은 대체로 평지이다. 특히 진봉산의 동남쪽의 좁고 긴 평야와 사천의 범람원은 토지가 비옥해 논과 밭으로 잘 개간되었다.

주요 농산물은 쌀 · 보리 · 콩 · 조 · 목화 · 인삼 등이다. 북쪽 면 경계를 경의선이 통과해 봉동역이 있으며, 봉동리를 기점으로 주요 마을에 등외도로가 연결되어 교통은 불편하지 않다.

유적으로는 봉동리의 경종왕영릉(景宗王榮陵) · 충혜왕영릉(忠惠王永陵) · 지궐사지(支闕寺址), 흥왕리의 덕물산성터 · 대명전지 · 흥왕사터, 신돈(辛旽)이 만들었다는 조산인 사봉(四峯) 등이 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봉동(鳳東) · 대조족(大鳥足) · 백전(白田) · 발송(鉢松) · 고두산(高頭山) · 흥왕(興旺) · 지금(芝金) · 도평(都平) 등 8개 이가 있다.

북면

북면(北面)은 군의 서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71.12㎢, 인구 8,819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여현리이다. 본래 옛 개성군의 북서면과 강남면 지역으로, 두 면을 합쳐 북면이라 개칭해 새로 개편된 개성군의 관내에 속했다가, 1931년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됨에 따라 개성군이 개풍군으로 개칭되어 그 관내가 되었다.

광복 후 면 남부지역이 38선 이남이어서 남한에 속했다가 한국동란 후 휴전협정의 결과 이 곳마저 북한지역이 되었다. 동쪽의 면 경계에 봉명산이 솟아 서쪽으로 완경사를 이루어 중부 이서지방은 구릉지대가 된다.

서남쪽으로 곡류를 거듭하는 임진강 본류와, 동부 산지에서 발원해 임진강에 합류하는 여러 작은 지류의 연안에는 비교적 넓은 평야가 형성되어 있으며, 토지가 비옥하여 이 면의 주요 농산지대가 된다.

주요 농산물은 쌀 · 보리 · 밀 · 콩 · 조 · 대마 등이다. 광공업은 가토미리의 삼보광산(三寶鑛山), 여현리의 영광광산(榮光鑛山)과 이포광산 등 여러 광구가 있어 금 · 은 등이 채굴되며, 석회광도 있다. 경의선이 동부를 남북으로 통과하며, 면내에는 여현역이 있다. 각 주요 마을에 등외도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예성강수운을 이용하므로 교통은 편리하다.

유적으로는 일삼소리의 보월사지, 여현리의 여현진지(礪峴鎭址)가 있으며, 여현리에는 종유동(鐘乳洞)도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여현(礪峴) · 일삼소(一三所) · 이소(二所) · 용현(龍峴) · 가토미(加土尾) · 식포(食浦) 등 6개 이가 있다.

상도면

상도면 上道面은 군의 남부에 위치한 면. 면적 36.75㎢, 인구 4,043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풍천리이다. 본래 개성군의 군북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도면으로 개칭되었다가, 1931년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되고, 개성군이 개풍군으로 개칭되어 그 관내가 되었다.

광복 후 남한지역이었으나 한국동란 후 휴전협정의 결과 북한지역이 되었다. 서남부에서 동단 중부에 걸쳐 150∼200m의 구릉이 잇달아 있으며, 각처에 100m 이하의 구릉이 기복되었다.

이들 구릉 사이에 소규모의 평지와 작은 분지 및 경사면이 있으며, 이들을 농경지로 개발해 쌀 · 보리 · 대두 · 조 · 목화 등을 경작하고, 특산물로 인삼이 생산된다. 광공업은 서북부에 명석광구(明錫鑛區)가 연속되어 금 · 은 등을 채굴하며, 풍천리에 석회광이 있고, 연동리에 토기공장이 있다.

3등도로가 서북단을 남북으로 통과하고, 주요 마을에는 등외도로가 개설되어 있지만 교통은 대체로 불편하다. 유적으로는 풍천리의 조선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제릉(齊陵)과 연경사(衍慶寺), 상도리 풍곡(風谷)의 고려 신성왕후(神成王后)의 정릉(貞陵), 상도리의 불당곡사지(佛堂谷寺址) 등이 있다. 풍천(楓川) · 삼인(三仁) · 상도(上道) · 양사(羊司) · 연동(蓮洞) · 대릉(大陵) 등 6개 이가 있다.

서면

서면(西面)은 군의 서부에 위치한 면. 면적 29.17㎢, 인구 4,867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광정리이다. 원래 개성군의 서면이었다가, 1931년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됨에 따라 개성군이 개풍군으로 개칭되자 그에 속하게 되었다.

광복 후 남한지역이었으나 한국동란 후 휴전협정의 결과 북한지역이 되었다. 서북부에는 오봉산(五峰山, 171m)을 비롯해 200∼300m의 구릉이 잇달아 있으나, 그 밖의 지역은 대체로 평지이다. 예성강이 서안 연백군과의 군계를 남북으로 흐르면서 동남부의 여러 작은 내들을 합치는데, 그 본류와 지류 유역에 비교적 넓은 평야가 발달되어 이 면의 주요 경작지가 된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주요 농산물은 쌀 · 보리 · 밀 · 콩 · 조 · 수수 등이고, 부업으로 누에치기 · 가마니짜기 등이 행해진다. 광업은 전포리의 광정광산, 연산리의 광산에서 금 · 은 등이 채굴된다.

동부를 통과하는 경의선의 토성역에서 분기되는 사설철도인 황해선이 면의 북부를 동서로 횡단하며, 이 면에 전포리역이 설치되었다. 또한 3등도로가 황해선과 병행하고, 개성에서 연안을 향하는 2등도로는 면의 남부를 통과하며, 주요 마을에는 등외도로가 개설되었다. 예성강의 수운도 비교적 활기를 띠어 교통은 불편하지 않다.

유적으로는 전포리의 감로사지(甘露寺址), 개성리의 용궁당(龍宮堂) 등이 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광정(光井) · 연산(蓮山) · 강(江) · 개성(開城) · 전포(錢浦) 등 5개 이가 있다.

영남면

영남면(嶺南面)은 군의 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96.39㎢, 인구 5,257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용흥리이다. 본래 개성군의 영남면과 동부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두 면을 합쳐 영남면이라 하였다. 그 뒤 새로 개편된 개성군 관내에 속했다가, 1931년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됨에 따라 개성군이 개풍군으로 개칭되면서 그 관내가 되었다.

동쪽 군계에 마식령산맥에 속하는 화장산 · 극락산, 서쪽에 봉명산, 남쪽에 송악산, 북쪽에 천마산 등이 솟아 있어, 그 여맥이 면내로 뻗어내려 산지가 많고 평야는 적다. 다만 임진강의 지류인 사천 유역에 평야가 형성되어 이 면의 주요 생산지대와 거주지역이 되고 있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주로 인삼 · 콩 · 쌀 · 조 · 보리 · 밀 · 잎담배 · 피 등을 생산한다. 근년에는 사과 · 배추 · 자두 · 복숭아 등의 과수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특산물인 개성배추는 전국적으로도 유명하며, 예로부터 보부상으로 전국을 누비던 개성상인의 본고장이기도 하다.

개성∼금천간의 1등도로가 서부를 종단해 경의선의 계정역(鷄井驛)과 연결되며, 주요 마을에는 등외도로가 있지만 대체로 교통은 불편하다. 용흥리에 대규모의 약용식물연구소가 있다. 이 면은 토성면과 더불어 각종 유적이 많기로 유명하다.

성터로는 대흥산성지(大興山城址), 심천리의 청석진성지(靑石鎭城址), 왕릉으로는 반정리의 헌릉(憲陵), 용흥리의 동구릉(東龜陵) · 마전릉(馬轉陵), 소릉리의 삼릉(三陵) · 사릉(四陵) · 소릉(韶陵), 사지로는 반정리의 적조암지(寂照庵址), 문화리의 문화사지(文化寺址), 용흥리의 오룡사지(五龍寺址) · 신암사지(新巖寺址) · 용흥사지(龍興寺址), 문화리의 영통사지(靈通寺址), 현화리의 총지사지(總持寺址) 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용흥(龍興) · 소릉(昭陵) · 반정(伴程) · 심천(深川) · 현화(玄化) · 대원(大院) 등 6개 이가 있다.

영북면

영북면(嶺北面)은 군의 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84.32㎢, 인구 3,833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길수리이다. 원래 개성군의 영북면이었으나, 1931년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됨에 따라 새로 개풍군이 편성되자 그 관내에 속하게 되었다.

북쪽 장단군과의 경계에 월양산(月陽山, 578m), 서쪽 황해도 금천군과의 경계에 제석산(帝釋山, 744m), 동쪽에 화장산, 남쪽에 천마산 등이 사방으로 둘러 있고, 중앙부에도 국사봉(國師峯, 764m)이 있어, 면 전체가 산지로 이루어졌다.

평지가 거의 없어 주로 산악의 경사면과 작은 분지 및 계곡의 연변 등이 경작지로 개발되어 이 면의 주요 생산지대가 되고 있다. 따라서 논농사보다는 밭농사를 주로 하며, 인삼 · 콩 · 보리 · 밀 · 조 등이 경작되며, 근래에는 사과 · 배 · 복숭아 등의 과수재배에 종사하는 주민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산물인 인삼재배가 성황을 이루어 인삼포의 ‘품팔이’로 인근지방에서 노동자들이 모여든다. 길수리를 기점으로 해 주요 마을에 등외도로가 마련되었을 뿐 교통은 불편하다. 유적으로는 길상리에 천마산의 천험을 이용한 대흥산성(大興山城)이 있다.

이는 석축으로서 주위 약 10㎞, 높이 2.5m의 원형으로 석문 여섯 개가 남아 있으며, 성 중에는 송도삼절 중의 하나인 박연폭포(朴淵瀑布)의 절경이 있고, 부근에 관음사(觀音寺)가 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길수(吉水) · 길상(吉祥) · 고덕(古德) · 월고(月古) 등 4개 이가 있다.

임한면

임한면(臨漢面)은 군의 남부에 위치한 면. 면적 48,82㎢, 인구 6,359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월암리이다. 본래 풍덕군의 남면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임한면으로 개칭하고, 새로 개편된 개성군 관내가 되었다. 그 뒤 1931년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되자 개성군이 다시 개풍군으로 개칭되어, 그 관내에 속하게 되었다.

광복 후 남한지역이었으나 한국동란 후 휴전협정의 결과 북한지역이 되었다. 동북부에 몇 개의 구릉이 기복되었을 뿐, 전역이 대체로 평야로 이루어져 있다. 토지가 기름지고, 저수지 · 수로 · 보 등의 수리시설이 잘 갖추어져 군내의 주요 생산지대가 되고 있다.

주로 쌀 · 콩 · 보리 · 조 · 잎담배 등이 생산되며, 최근에는 각처의 과수재배가 성해서 사과 · 배 · 복숭아 등이 나온다. 특산물로는 인삼과 배추가 있으며, 특히 배추는 서울 방면으로 많이 반출되기도 했다. 광업으로는 채련리의 철광석광과 월암리의 형석광(螢石鑛)이 있다.

사동리를 중심으로 등외도로가 주요 마을에 개설되었을 뿐 육상교통은 불편하나, 한강과 임진강을 이용하는 수상교통이 비교적 편리한 편이다.

유적으로는 유천리에 배남산(背南山) 산성터, 월암리에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민제(閔霽)의 묘, 가정리에 왕성부원군(王城府院君)장만(張晩)의 별장이었다는 이호정(梨湖亭), 하조강리에 고려 문하시중 유탁(柳濯)의 묘 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월암(月巖) · 사동(仕洞) · 채련(採蓮) · 가정(佳井) · 정곶(丁串) · 유천(柳川) · 상조강(上祖江) · 하조강(下祖江) 등 8개 이가 있다.

중면

중면(中面)은 군의 남동부에 위치한 면. 면적 50.56㎢, 인구 7,260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대룡리이다. 본래 풍덕군에 속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개성군에 속했다가, 1931년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됨에 따라 새로 개풍군이 개편되자 그 관내가 되었다.

광복 후 남한지역이었으나 한국동란 후 휴전협정의 결과 북한지역이 되었다. 천마산의 여맥이 이 면에까지 미치어 도처에 구릉을 기복시키나, 군장산(軍藏山, 283m) 외에는 크게 높지 않아 대체로 평지가 전개된다.

동쪽 군계에 사천이 곡류해 임진강 본류로 들어가며, 임진강과 사천의 유역과 구릉 사이에 비교적 넓은 평야가 형성되어 경작지로 이용된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쌀 · 콩 · 조 · 보리 · 밀 등을 생산한다.

광공업으로는 대룡리에 형석광산이 있고, 교통은 대룡리를 중심으로 각 주요 마을에 등외도로가 통할 뿐 매우 불편하다.

유적으로는 창내리에 신돈이 축조했다는 주위 약 800m의 토성이 있고, 덕수리에 이름 모르는 주위 약 1㎞의 토성, 신마(神馬)를 매장했다는 마분(馬墳)과 백운사지 · 덕수폐현지 등이 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대룡(大龍) · 식현(食峴) · 덕수(德水) · 송산(松山) · 천덕(天德) · 창내(倉內) · 동강(東江) 등 7개 이가 있다.

청교면

청교면(靑郊面)은 군의 중앙에 위치한 면. 면적 46.52㎢, 인구 9,184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양릉리이다. 원래 개성군에 속했으나, 1934년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됨에 따라 개성군이 개풍군으로 개칭되자 그 관내에 속하게 되었다.

광복 후 남한지역이었으나 한국동란 후 휴전협정의 결과 북한지역이 되었다. 동북부에 100m 내외의 구릉이 기복되었을 뿐, 그 밖의 지역은 대체로 평야이다. 특히 사천 연안 구릉 사이의 평야는 토지가 기름지고 수리시설도 좋아 각종 농산물의 경작에 적합하다.

주요 농산물은 쌀 · 보리 · 밀 · 인삼 · 콩 · 조 등이다. 경의선이 북부를 횡단해 개성 · 토성 · 봉도 등 여러 역이 비교적 근거리에 있고, 개성시와 한강 연안간에 3등도로가 남북으로 통과하며, 주요 마을에 등외도로가 연결되어 교통은 편리하다.

유적으로는 풍수가들이 말하는 명당이 많기로 유명하여 고려왕조의 왕릉이 매우 많다. 양릉리의 양릉(陽陵 : 고려 신종의 능) · 안릉(安陵 : 고려 정종의 능), 유릉리의 유릉(裕陵 : 고려 예종의 능) · 총릉(聰陵 : 고려 충렬왕의 능), 배야리의 강릉(康陵 : 고려 성종의 능), 탄동리의 영릉(榮陵 : 고려 경종의 능) 등이 있다.

사찰은 탄동리의 도선암(道詵庵) · 옥천사(玉泉寺), 묵송리의 영원정(靈源亭) 등이 유명하며,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양릉(陽陵) · 탄동(炭洞) · 배야(排也) · 유릉(裕陵) · 광답(廣畓) · 묵송(墨松) 등 6개 이가 있다.

토성면

토성면(土城面)은 군의 북서부에 위치한 면. 면적 63.64㎢, 인구 8,070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토성리이다. 옛 개성군의 중서면과 서부면 일부를 합쳐 중서면이라 하고, 새로 개편된 개성군의 관내에 속하였다. 그 뒤 1931년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됨에 따라 개성군이 개풍군으로 개칭되자 그 관내가 되었다.

민족항일기 말에 중서면을 토성면이라 개칭하였다. 광복 후 이 면의 대부분이 남한지역에 속했으나 한국동란 후 휴전협정의 결과 북한지역이 되었다. 동북단 개성시와의 경계에 송악산이 있고, 북쪽에는 봉명산 · 응봉(鷹峰, 400m) 등이 있으나, 남쪽으로 완경사가 되어 동남부에는 비교적 넓은 평지가 형성되어서 주요 경작지대가 된다.

토지가 기름지고 주민들이 부지런해 평지와 구릉 사이가 모두 경작지로 개발되었다. 주요산업은 농업으로, 쌀 · 보리 · 밀 · 콩 · 조 · 목화 등을 경작하며, 특산물인 인삼이 재배된다. 광업은 북부에 창포광산(倉浦鑛山)이 있어 금 · 은 등이 채굴된다.

경의선이 남부를 동서로 횡단하며 토성역이 있다. 이 역에서 사설철도인 황해선이 분기되어 서쪽 해주시로 향한다. 이 철도를 따라 1·2등도로인 경의가도와 해주가도가 병행한다. 이 면은 고려의 옛 도읍인 송도에 가까워 절터 · 성터 · 왕릉 · 고분 · 불상 등 많은 유물과 유적이 각 처에 산재한다.

왕릉으로는 여릉리의 현릉(顯陵 : 고려 태조의 능) · 정릉(正陵 : 왕비 노국공주의 능) · 서구릉(西龜陵 : 왕이름 미상의 능) · 명릉(命陵 : 충목왕의 능) · 고릉(高陵 : 왕후 제국공주의 능), 곡령리의 태릉(泰陵 : 태종의 능) · 칠릉(七陵 : 왕이름 미상의 능) · 선릉(宣陵 : 현종의 능) 등이 있다.

여릉리의 사문동비각(社門洞碑閣), 곡령리의 완월사(翫月寺) · 해안사지(海安寺址), 토성리의 토성지 등의 국가유산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토성(土城) · 여릉(麗陵) · 곡령(鵠嶺) · 연하(煙霞) · 관전(館前) 등 5개 이가 있다.

흥교면

흥교면(興敎面)은 군의 남부에 위치한 면. 면적 41.97㎢, 인구 5,852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영정리이다. 본래 풍덕군의 동면과 군남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두 면을 합쳐 흥교면이라 개칭하고, 개성군에 속하였다. 그 뒤 1931년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됨에 따라 새로 개풍군이 개편되자, 그 관내에 들게 되었다.

광복 후 남한지역이었으나 한국동란 후 휴전협정의 결과 북한지역이 되었다. 서북단에 백룡산(白龍山, 236m) · 백마산 등이 있고, 그 줄기가 전역에 뻗어내려 도처에 100m 이하의 구릉을 기복시켜 비교적 평지가 적다.

다만 월암천(月巖川)이 동쪽 임한면과의 경계를 흘러 한강으로 들어가며, 유역에 비교적 넓은 평야가 전개되어 주요 경작지대가 되고 있으며, 토지가 비옥하고 수리시설도 잘 갖추어져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 · 보리 · 밀 · 인삼 · 콩 · 채소 등이다.

교통로는 영정리를 기점으로 북쪽 개성시에 3등도로가 통하고, 그 밖에 주요 마을을 연결하는 등외도로가 개설되어 있으며, 영정리와 강화도를 잇는 도선설비도 되어 있다. 유적으로는 흥교리에 인덕궁지(仁德宮址) · 흥교사(興敎寺) · 백마산성(白馬山城) · 후릉(厚陵) 등이 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흥천(興天) · 흥교(興敎) · 궁천(宮川) · 사곡(仕谷) · 지현(芝峴) · 조문(照門) · 영정(領井) 등 7개 이가 있다.

개풍군의 광복후 변천

행정구역 개편내용을 보면 1952년 12월 개성시에 속했고, 1954년 10월 광수리 일부를 분리, 광달리와 목송리에 나누어 편입하였다. 1961년 3월 금천군 매현리를 개풍군에 편입함과 동시에 금천군 강남리를 분리, 매현리에 통합하였다.

1986년 현재 개풍읍을 비롯하여 묵산 · 연통 · 해선 · 고남 · 광담 · 오산 · 묵송 · 연강 · 신서 · 삼성 · 남포 · 신광 · 광수 · 의포 · 신성 · 모원 · 해평 · 리현 등 1읍18리가 있으며, 6만2천여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군소재지는 개풍읍이며 개성시, 경기도 판문군 · 금천군, 황해남도 배천군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한강하구일대를 경계로 강화도와 마주하고 있다.

농업용수시설로는 총연장 300㎞의 수로와 10여개의 관개양수장 및 38개의 분수식 양수장이 있으며, 배수시설로는 황강포배수갑문 · 예성강배수갑문이 있다. 지방산업공장은 일용품 · 식료 · 피복 · 기계 · 제지 · 건재 등의 공장이 있다. 교통망은 해주방면으로 가는 철도와 도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주요교육시설로는 도원고등중학교가 있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
『경기도지』(경기도지편찬위원회, 1959)
『경기도향토교육자료지』 1-역사편-(경기도교육위원회, 1959)
『경기도사』(경기도사편찬위원회, 1975)
『개풍군지』(개풍군지편찬위원회)
『인물의 고향』-북한편-( 중앙일보사, 1984)
『북한지지요람』(통일원, 1979)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노도양·강대욱·김광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