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학회 ()

경제
단체
경제사연구를 위한 학술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제사연구를 위한 학술단체.
연원 및 변천

경제사 및 연관 학술분야의 연구를 촉진하고 그 연구결과의 보급을 목적으로 1962년 7월 설립, 1964년 9월 설립대회를 하였다. 이후, 1967년 12월과 1968년 3월 <한국사 시대구분 문제>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개최한 이후 지속적으로 경제학과 역사학 양 학계에 새로운 문제의식을 제공하고 있다.

1970·1977·1986·1996년 전국역사학대회를 주관, 개최하였으며 1995년에는 광복50주년기념 학술대회를 한국경제학회와 공동주관하였다. 또한 한국경제발전의 경로를 분석하고 발전전망을 모색하기 위해 월례발표회,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학술지 <경제사학 經濟史學>을 간행하고 있다.

그 밖에 국제경제사학회(The International Economic History Association)의 회원으로 가입하여 활동중이며 일본 등 아시아권의 연구자와의 공동연구(정기학술대회)도 성과를 거두고 있다. 몇 가지 사례를 들면 2022년에는 "Population Change and Economic Development in East Asia: Comparative Perspectives"를 주제로 온라인 하계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고, 2023년에는 "Historical Roots of Development in Asia and Beyond"라는 주제로 하계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2025년에는 아시아 계량경제사 워크샵 (AClio 2025)을 개최하였다.

현황

정회원의 자격은 경제사, 경제사상사 및 그 인접분야를 전공하는 사람으로서 대학 및 연구기관에 재직하거나 연구를 계속하고 있는 자이며 준회원의 자격은 대학원에 적을 둔 연구자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경제사학회(https://kehs.or.kr)
집필자
김순곤(건국대학교, 경제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