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도경은 1123년(인종 1) 송나라 사절의 한 사람으로 고려에 왔던 서긍이 저술한 견문록이다. 총 28문(門), 301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0권이다. 고려인이 아닌 송의 사신의 시각으로 12세기 당시 고려 사회를 바라보았다는 점에서, 『고려사』나 『고려사절요』에서 전하지 않는 내용들이 많기 때문에 사료적 가치가 높다.
1123년(인종 1) 서긍(徐兢)이 송(宋)나라 휘종(徽宗)의 명을 받고 사절로 고려에 와서 견문한 고려의 여러 가지 실정을 그림과 글로 설명했기 때문에 ‘도경(圖經)’이라 하였다.
1126년(인종 4) 금(金)나라가 송나라의 수도 개봉(開封: 변경(汴京))을 함락시킬 때, 휘종에게 바친 정본이 없어졌다. 1167년(의종 21) 서긍의 조카 서천(徐蕆)이 서긍의 집에 있던 부본에 의거해서 징강군(澂江郡)에서 간각(刊刻)하였다. 그 부본에는 그림이 없었기 때문에 그림이 없는 도경이 되고 말았다. 이 간본은 간행의 연대 · 장소에 따라 ‘건도각본(乾道刻本)’ 또는 ‘징강본(澂江本)’이라고도 한다. 고려 인종(仁宗)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간행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아직 확인되지 못하고 있다.
이 책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청(淸)나라 때 포정박(鮑廷博)이 편찬한 『지부족재총서(知不足齋叢書)』에 이 책을 수록 · 간행하면서 비롯되었다. 포정박은 발문에서 ‘건도(建都) 3년에 간행된 송판본(宋版本)과 간행 연대 미상의 고려본이 있으나 볼 수가 없고, 세상에 유전하는 것은 명(明)나라 말기의 정휴중(鄭休仲)의 중간본(重刊本: 정본(鄭本))뿐이다. 이 정본(鄭本)은 탈자가 수천 자에 달하고, 또 착간(錯簡)으로 읽을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그 간본이 좋지 않았던 것 같다. 그리하여 포정박은 자기 소장의 사본과 정본을 참합(參合), 간행하였다. 그러나 그 지부족재본(知不足齋本)도 미비한 점이 많았다. 그는 발문에서 송판본의 출현을 기다려 그 잘못을 바로잡겠다는 말로써 아쉬움을 표하였다.
1910년대 초 일본인들의 조선고서간행회에서 지부족재본을 대본으로 활인(活印)하였고, 1932년 일본인 학자 이마니시 류[今西龍]가 『조선학총서(朝鮮學叢書)』의 하나로서 활인하였는데, 역시 지부족재본을 대본으로 하였다. 또한 건도 3년에 간행된 송판본 한 질을 소장하고 있던 중국 북경(北京)의 고궁박물원(故宮博物院)에서 1931년 『천록임랑총서(天祿琳琅叢書)』 제1집의 하나로서 영인하였다. 이것은 현재 미국 하버드대학의 합불연경도서관(哈佛燕京圖書館)에 소장되어 있으며, 1970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에서 다시 영인하였다.
정식 명칭은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인데, 흔히 줄여서 『고려도경(高麗圖經)』이라 부르고 있다. 서긍은 개성(開城)에 한 달 남짓 머무르는 동안, 그의 견문을 바탕으로 이 책을 지었다. 서긍은 돌아가, 곧 이 책을 만들어 휘종에게 바치고 그 부본을 집안에 두었다. 휘종은 책을 보고 크게 기뻐해 동진사출신(同進士出身)을 내리고, 지대종정승사(知大宗正丞事)로 발탁하였다.
이 책은 건국(建國), 세차(世次), 성읍(城邑), 문궐(門闕), 궁전(宮殿), 관복(冠服), 인물(人物), 의물(儀物), 장위(丈衛), 병기(兵器), 기치(旗幟), 거마(車馬), 관부(官府), 사우(祠宇), 도교(道敎), 민서(民庶), 부인(婦人), 조예(皂隷), 잡속(雜俗), 절장(節杖), 수조(受詔), 연례(燕禮), 관사(館舍), 공장(供張), 기명(器皿), 주즙(舟楫), 해도(海道), 동문(同文) 등 모두 28문(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 301개의 항이 있다. 고려의 건국과 왕위의 계승, 개경(開京) 시내의 모습과 정치 제도, 고려의 중요 인물에 대한 품평 및 각종 제도, 그리고 송에서 고려에 이르는 해로(海路) 등을 비교적 체계적으로 기록하였다.
특히 『고려도경』에 수록된 내용은 중국인의 시각으로 본 고려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고려사(高麗史)』나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등 연대기 기록과 각종 문집(文集)이나 금석문(金石文)에 나오지 않는 것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현재 미술사 연구에서 『고려도경』의 기명(器皿) 관계 기록이 많은 참고가 되고 있으며, 선박이나 해도와 관계된 비교적 상세한 기록을 남기고 있기 때문에 해양사(海洋史)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사회경제사(社會經濟史) 및 정치사(政治史)와 제도사(制度史), 도시사(都市史) 연구에서도 많은 참고가 되고 있다. 또한 12세기 당시 관료 사회 및 백성들 사이에서 전해지고 있었던 풍속이 소개되어 있으며, 인종 즉위 초 정치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인물에 대한 평가까지 수록되어 있다.
원래는 고려에서 보고 들은 것을 글로 설명하고 그림을 덧붙이고자 하였으나, 현재 남아 있는 판본 모두가 그림은 없어지고 오직 글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이 책은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다. 송의 사신으로 고려에 관한 기사를 남긴 것으로는 오식(吳栻)의 『계림기(鷄林記)』(20권), 왕운(王雲)의 『계림지(鷄林志)』(30권), 손목(孫穆)의 『계림유사(鷄林類事)』(3권)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완전히 없어졌거나 겨우 그 일부분만이 전하고 있을 뿐이어서 『고려도경』이 가지고 있는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고려의 역사적 사실을 잘못 이해하고 서술한 부분도 적지 않다. 따라서 이 자료의 이용에는 반드시 엄밀한 사료 비판과 검토, 그리고 취사선택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