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 ()

광장 극단 / 무녀도 공연
광장 극단 / 무녀도 공연
연극
단체
1966년 3월 연출가 이진순(李眞淳)을 중심으로 전문연극을 내세우면서 출발한 동인제 시스템의 극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66년 3월 연출가 이진순(李眞淳)을 중심으로 전문연극을 내세우면서 출발한 동인제 시스템의 극단.
연원 및 변천

연극계의 중견과 신진배우들이라 할 수 있는 백성희(白星姬) · 정애란(鄭愛蘭) · 고은정(高恩晶) · 김민자(金敏子) · 노경자(盧京子) · 박명희(朴明姬) · 김애리사(金愛利士) · 김금지(金錦枝) · 고설봉(高雪峰) · 권성덕(權成德) · 김석강(金石江) · 신원균(申原均) · 유기현(柳基鉉) · 윤계영(尹啓榮) · 이진수(李辰洙) · 최길호(崔吉浩) · 추송웅(秋松雄) · 고동률(高東栗) · 박만규(朴滿圭) · 이석구(李奭九) · 장종선(張鍾善) 등 20여 명으로 구성되었으며, 1966년 6월에 국립극장에서 셰익스피어 작 「윈저의 명랑한 아낙네들」로 창립공연을 가졌다.

이후 이 극단은 셰익스피어 작품에 이어 안톤 체호프(Anton Chekhov)와 프랑크 베데킨트(Frank Wedekind) 등 근대작가들의 중후한 희곡을 레퍼토리로 삼았고, 창작극은 신인 작가의 희곡을 즐겨 택하였다. 1983년 민중극장, 극단 대중과 연합하여 뮤지컬 「아가씨와 건달들」을 공연하였으며, 1998년 세 극단이 '민 · 광 · 대'라는 이름으로 극단을 조직하여 「아가씨와 건달들」을 재공연하기도 했다. 광장은 뮤지컬 공연의 성공으로 한때는 뮤지컬 전문극단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주요작품으로는 1967년 안톤 체호프 작 「벚꽃동산」, 1968년 이범선(李範宣) 작 「학마을 사람들」, 1977년 제1회 대한민국연극제 출품작 「화조」, 1979년 제3회 대한민국연극제 출품작 이반 작 · 조병진 연출 「그날 그날에」, 1981년 프레드릭 노트(Frederick Knott) 작 「다이얼 M을 돌려라」, 헨릭 입센(Henrik Ibsen) 작 「인형의 집」, 제5회 대한민국연극제 출품작 이재현 작 · 김효경 연출 「미국에 산다」, 1982년 장 폴 사프트르(Jean Paul Sartre) 작 「무덤 없는 주인」, 1983년 안톤 체호프 작 「갈매기」, 몰리에르(Moliere) 작 「귀족이 될 뻔한 사나이」, 1984년 에이브 버로우스(Abe Burrows) 작 「아가씨와 건달들」, 1986년 테네시 윌리엄스(Tennessee Williams) 작 「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 제10회 대한민국연극제 참가작 박범신(朴範信) 작 · 문석봉 연출 「그래도 우리는 볍씨를 뿌린다」, 1993년 빅토르 위고(Victor Hu해) 작 「레미제라블」, 2003년 윤정건(尹正健) 작 「불효자는 웁니다」등이 많은 작품이 있다.

수상작품으로는 1969년 제5회 동아연극상에서 「학마을 사람들」로 대상, 1983년 제20회 동아연극상에서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로 대상, 1985년 동아연극상에서 「무덤 없는 주검」으로 작품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의의와 평가

광장은 극단 대표 이진순의 사망 이후에 젊은 연출가들의 주도로 진지한 사실주의극을 추구하는 한편, 미국식 음악극 등 상업주의연극을 주로 공연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 근·현대 연극 100년사』(한국 근·현대 연극100년사 편찬위원회, 집문당, 2009)
『전통극과 현대극』(유민영, 단국대학교출판부,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