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해양유물전시관 ()

국립해양유물전시관
국립해양유물전시관
회화
단체
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용해동)에 있는 연구소.
이칭
이칭
목포보존처리장, 목포해양유물보존처리소,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정의
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용해동)에 있는 연구소.
설립목적

수중문화재가 집중분포된 서해안 지역의 체계적 조사는 물론 새만금사업 등 대규모 해양개발지역의 수중문화재 조사수요 급증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국립문화재연구소는 1981년 신안 해저 인양 및 각종 유물의 과학적 보존 업무를 전담할 ‘목포보존처리장’을 목포시 용해동에 개설하였다. 1990년 1월 직제 개편에 따라 ‘목포해양유물보존처리소’로 개칭되었으며, 1994년 5월 문화재관리국 산하의 ‘국립해양유물전시관’으로 개편(대통령령 제14,251호)되면서 1994년 12월 14일 국립해양유물전시관으로 개관하였다. 그리고 2009년 4월 27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로 개칭되었다. 새롭게 출범하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전시교육 기능을 유지하면서 수중문화재 조사연구 기능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다.

기능과 역할

총면적은 3만2359㎡(9,789평), 6,150㎡(1,860평) 규모의 전시관은 그 성격과 기능이 조화된 현대식 건축물이며, 해양 전통 문화와 수중 문화재에 대한 조사와 보존 그리고 전시와 교육을 담당하는 종합 해양 문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주요 조사 활동으로는 신안해저문화재발굴조사(1976∼1984년), 완도해저발굴조사(1983∼1984년), 진도 벽파 통나무배 발굴 조사(1991∼1992), 목포 달리도배 발굴 조사(1995), 무안 도리포 고려청자 발굴(1995∼1996년), 비안도 고려청자 발굴(2002∼2003) 등 전통 한선과 어로 민속 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국내에서 출토되는 각종 고고 목재 유물(考古木材遺物)에 대한 과학적 보존 처리 지원 사업도 펼치고 있다. 사회 교육 활동으로는 ‘바다문화학교’ 및 ‘어린이바다학교’가 개설되고, ‘해변극장’ 등 다양한 문화 행사를 운영하고 있다.

기구 조직은 관무를 관장하고 대표하는 관장 아래 기획운영과와 전시홍보과를 두었다. 기획운영과는 운영 및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전시홍보과는 해양 유물의 발굴 조사와 과학적 보존 처리, 전시 및 사회 교육 활동을 담당하고 있다.

현황

전시실은 4개 상설 전시실과 기획 전시실 그리고 야외 수상 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전시 내용은 수중 고고학(水中考古學)에 대한 이해와 완도 해저 유물 및 완도선(莞島船, 11세기)의 복원 전시, 무안 도리포 해저 인양 유물, 신안 해저 유물과 신안선(新安船, 14세기)의 복원 전시, 동아시아 교역사의 이해, 각종 어구(漁具)를 비롯한 어촌 민속과 한선(韓船)의 발달사를 조명하고 있다. 야외 수상 전시장에는 가거도배·멍텅구리배 등 전통 한선의 실물을 전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http://www.seamuse.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