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호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군대편성상의 단위.
이칭
이칭
병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군대편성상의 단위.
내용

고려시대에 군호라는 용어가 처음 나오는 것은 현종 때이다. 군호는 군복무자인 군인과 이를 경제적으로 뒷받침하는 사람인 양호(養戶)로 구성되어, 군인 1인에 양호 2인이 배정되었다. 양호는 군대에 복무하는 대신 군인들에게 양곡을 보내어 부양하였다.

한편, 군호가 군인과 양호로 이루어졌을 것이라는 것을 부정하고, 군호는 군역(軍役)의 세습을 보장하기 위한 하나의 단위였을 것이므로 군인과 그의 자손·친족으로 구성되었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

그 뒤에 1356년(공민왕 5)의 병제개혁 때에는 3가(家)로 1군호를 구성하여, 병란이 있으면 국가에서 1정(丁)씩을 교대로 서울의 군영으로 보내게 하고, 정세가 위급하면 국가의 장정을 모두 출동시키는 규정을 두었으나 잘 실시되지 못하였다.

군호와 비슷한 용어로서 병가(兵家)라는 용어도 나오고 있다.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는 군호 또는 병호(兵戶)라고 하는 특정한 군인의 호(戶)가 설정되어 있었다고 하는데, 그것을 병가라고도 불렀다.

따라서, 남북조시대의 예를 따른다면 이도 군호와 같은 뜻으로 다룰 수가 있겠으나, 무반 출신(武班出身)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을지도 모르므로 단정짓기는 어렵다.

또한 본관제와 결합하여 군역을 고정화하는 원리로도 작용하였다는 견해도 있다.

현재 고려시대 군복무자인 군인의 성격 및 그들이 받았던 군인전(軍人田), 그리고 그 군인전의 경영 등에 관해서는 특히 이설이 많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시대 군호의 편제와 본관제」(이상국, 『군사』56, 2005)
「고려시대 군역차정과 군인전」(이상국, 『한국중세사연구』15, 2003)
『고려토지제도사연구(高麗土地制度史硏究)』(강진철, 고려대학교출판부, 1980)
『고려병제사연구(高麗兵制史硏究)』(이기백, 일조각, 196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