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속으로 들어간 사람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자신에게 닥친 위기를 도술로 벗어난 이인(異人)에 관한 설화.
목차
정의
자신에게 닥친 위기를 도술로 벗어난 이인(異人)에 관한 설화.
내용

도둑으로 잡혀가게 되자 자기가 그린 그림 속으로 들어가 숨어 버린 이인(異人)에 관한 설화이다. 자신에게 닥친 위기를 도술로 벗어난 신이담(神異譚)이다. ‘그림을 타고 간 사람’으로도 불리며 널리 전해진다.

어떤 사람이 가난하게 살고 있는 친구에게 새 한 마리를 그려 주고는, 막대기를 주면서 “날마다 새를 한 번씩 때리라.”고 하였다. 친구가 그 말대로 하였더니 날마다 새가 엽전을 세 닢씩 물어다 주었다. 그러다가 욕심이 나서 새를 자꾸 때려 돈을 모으다 보니 온 집 안이 돈바다가 되었다. 그 돈은 나라의 국고 돈으로서, 나라에서는 국고의 돈이 자꾸 없어지는 것을 알고는 범인을 찾고 있었다.

하루는 새 한 마리가 돈을 물고 날아가는 것을 발견하여 새를 쫓아가 보았더니, 어느 집 마당에 돈이 쌓여 있는 것을 보게 되었다. 주인을 잡아 문초하자 그 주인이 그림을 그려준 친구를 대었으므로, 그 친구가 잡혀가서 엄한 문초에 거의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

마침내 그는 마지막 소원이 있다면서 그림을 한 번 그리게 해 주기를 간청했다. 허락을 받은 뒤, 그 사람은 잘생긴 말 한 필을 그려 놓고 그림 속으로 들어가 그 말을 타고 어디론가로 가 버렸다는 설화이다.

각 편에 따라서는 새 그림을 그려 준 사람이 재주가 비상한 도둑·학자·승려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새도 비둘기나 까치 등의 구체적 명칭으로 이야기되는 경우도 있다. 도망갈 때 그린 그림도 당나귀나 말과 같은 탈것 이외에도, 금강산의 풍경과 암자 하나를 그린 뒤, 구경 간다면서 암자의 문을 열고 들어가 사라지기도 한다.

이 설화의 주인공은 도술을 부리는 이인으로서, 그는 친구나 이웃 사람을 도술로 도와 가난을 면하게 하고 자기에게 닥친 위기도 도술을 통해서 벗어나는데, 이와 같이 도인이 그린 그림이나 신기한 현상을 볼 수 있는 그림에 관한 유사한 설화들도 여러 편 있다.

그림 속에 그려진 여인이 나와 말을 하거나 술을 따르는 경우, 새소리 등이 나는 경우, 서광이 비치는 글씨, 날아가 버린 비자(飛字) 글씨 등이 그러한 예화들이다.

이 유형의 설화는 민간에 널리 전해지고 있는 도가적 전통을 이은 이인 이야기의 맥을 잇는 것으로, 도술적 경합을 보이는 나머지 다른 설화나 소설의 형성과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이들은 도술담으로 분류할 수 있는 설화 유형군을 형성하고 있어서, 우리 설화문학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한국구비문학선집』(한국구비문학회 편, 일조각, 1976)
집필자
강진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