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국의 민요 ()

목차
구비문학
문헌
1958년 진성기가 제주도 고유의 민요사설 400편에 주석을 붙여 간행한 민요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58년 진성기가 제주도 고유의 민요사설 400편에 주석을 붙여 간행한 민요집.
내용

B6판, 246면. 1958년 제주민속문화연구소에서 간행하였다. 제주도 고유의 민요사설 400편을 싣고, 이해가 어려운 어휘는 각각 주석을 붙였다.

제주도민요를 우선 ① 자탄가, ② 정가, ③ 경세가, ④ 근로가, ⑤ 만가, ⑥ 오락가, ⑦ 타령, ⑧ 동요, ⑨ 토속가, ⑩ 문답가로 나누고 그 순서에 따라 자료를 수록하였다. 문답가는 어희요(語戱謠)로서 전승동요의 한 갈래로 본다면 동요와 더불어 전승동요자료가 함께 수록된 셈이다.

제주도민요의 핵심으로 볼 수 있는 근로가, 곧 노동요 항목에는 해녀노래·맷돌노래·방아노래·김매는노래·베틀노래·양태노래·망건노래·탕건노래·어부노래·밭밟는노래·밭가는노래·따비질노래·곰배질노래·자귀질노래·도끼질노래·톱질노래·타작노래·불무노래 등을 실었다.

사설표기에 있어서는 원음을 살리면서도 ‘·(아래아)’음만은 그에 가까운 음으로 바꾸었다. 책머리와 후기에 제주도민요에 대한 견해와 그 수집동기를 밝혔고, 제주도민요분류일람표를 제시하였다.

그 분류일람표에 따르면 제주도민요를 남요·여요·남녀요로 나누고 다시 세분하고 있으며, 각 편 머리에는 자료번호를 붙였다. 이 책은 제주도민요의 집성이라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요연구(韓國民謠硏究)』(임동권, 선명문화사, 1974)
『구비문학개설(口碑文學槪說)』(장덕순 외, 일조각,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