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화학 ()

목차
산업
개념
토양 · 비료 · 농약 등 농업 분야의 화학적인 현상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
목차
정의
토양 · 비료 · 농약 등 농업 분야의 화학적인 현상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
내용

농화학이란 처음부터 농업을 배경으로 한 화학적 영역에 속하며, 그 발상은 불분명하나 한편으로는 농경문화의 발상과 일치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 내용으로는 선사시대 및 기원전의 농업에서 토양·비료·기상요인·용수 등과 식물의 성장과의 관계에 관심을 가졌고, 그에 대한 인위적인 조절로 실제효과가 있음을 인식하였다.

우리 나라의 현대적 농화학의 발단은 서구보다는 반세기 정도 늦었다. 그 동안 변천해 온 경과를 4기로 구분하면, 제1기는 1944년 이전, 제2기는 1945년부터 1967년까지, 제3기는 1968년부터 1979년까지, 제4기는 1980년 이후로 될 수 있다.

제1기는 현대적 농화학의 도입과 기반조성기에 해당된다. 한국의 현대적 농학교육의 시작은 1904년 농상공학교의 설립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1906년에 농림학교로 개편되었고 그 당시의 교과목 중에 토양 및 비료(土壤及肥料)와 농산제조(農産製造)가 개설되었다.

그 뒤 학교 이름과 교과내용의 변경에 따라 토지개량론·식물생리화학·발효화학 등의 농화학 전문과목이 농화학 전문학과 없이 일반계·농학계 학과에서 기초 또는 지원과목으로 강의되었던 시대이었으므로 농화학의 기반조성기가 된다.

제2기는 독립된 농화학과가 당시 농학교육의 최고학부인 전문학교에 속하면서부터이고, 최초는 대구농림전문학교(大邱農林專門學校)와 수원농림전문학교(水原農林專門學校)에 설치되었다. 예를 들면 농화학 전문과목으로 생물화학·농약화학·비료제조학·영양식품화학·농산가공학·토양학·비료학, 기타 연관과목 등으로, 그 윤곽이 농업생산의 기초와 농업생산물의 이용 및 인체영양에 관련된 화학적인 모든 문제를 강의하고 연구하는 전문분야가 되었다.

이러한 교과내용 및 편제는 일본이 유럽의 것을 도입, 발전시킨 것을 한국에 그대로 들여온 것이었으며 학문적 전개방향이나 산업계와의 연결도 비슷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일본에 비하면 빈약한 편이었다.

한편, 이 시대에 고려대학교·건국대학교·춘천농과대학·충남대학교·충북대학·전북대학교·전남대학교·초급진주농과대학·제주대학 등 전국의 많은 대학에 농화학과가 거의 동일한 교과목으로 교육되었다. 또한 한국농화학회가 1960년에 설립되어 농화학 전문인의 친목과 학술정보의 교환 등의 활약이 연차에 따라 가속되면서 발전하였고, 식품산업·농약산업 등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 시기에는 양적인 확장과 질적인 충실화가 이루어졌다.

제3기는 농화학기의 분화와 전문영역의 재정비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기간에는 지금까지 농화학과의 주요한 전문영역으로 포괄되었던 것이 독립된 학과로 분화되었으며, 학회도 이 기간에 7개 정도 파생하여 독립하였으며, 그 모체라 할 수 있는 농화학회는 약간 축소되었다.

제4기는 농화학의 영역면에서의 재정립과 활성면에서의 재활기라고 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생명과학이 첨단분야로서 발전하게 됨에 따라 농화학계도 기존분야는 물론 생명과학분야가 활성을 되찾게 되었다.

농화학의 학술적 전문영역의 규정이 확연한 것은 아니나 1987년 현재의 활동상황을 보면 크게 4개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생산기초분야는 토양학·비료학·식물영양학·농약학·생태화학 등이다. 생명과학분야는 생화학·생화학공학·분자생물학·광생물학 등이다. 농산물이용과학분야는 식품재료학·식품가공학·영양학 등이다. 환경과학분야는 환경화학·환경미생물학·환경오염론 등이다.

학술로서의 전문분야는 이와 같이 광범위하나 교육면에서는 대학에 따라 교과내용에 다소의 차이가 있다. 농화학이 현대과학의 한 분야로서 발전하려면 기본적 화학문제를 해명하는 한편, 독립적인 전문영역의 확립이 필요할 것이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