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원시조 ()

담원시조 / 정인보
담원시조 / 정인보
현대문학
문헌
을유문화사에서 정인보의 시조 46편 312수를 수록하여 1948년에 간행한 시조집.
정의
을유문화사에서 정인보의 시조 46편 312수를 수록하여 1948년에 간행한 시조집.
서지적 사항

B6판, 154면. 반양장.

편찬/발간 경위

1948년 을유문화사에서 홍명희(洪命熹)의 제자(題字)로 출판하였다. 백낙준(白樂濬)·양주동(梁柱東)이 서문을 썼다.

초판에는 홍명희의 시조 <담원시조를 읽고>와 이에 화답한 저자의 <벽초가 써보낸 것을 보고>가 제순(題順 : 목차) 앞에 실려 있었으나, 1955년 진문사에서 신세계문고로 펴낸 재판에는 이 내용이 빠졌다.

또한, 초판에 수록되었던 <벽초(碧初) 딸 삼형제(三兄弟)를 강정리로 보내면서>(103∼109면)를 재판에서는 삭제하였다.

내용

정양완(鄭良婉)의 회고에 의하면, 저자가 국한문으로 신문에 글을 쓰기 시작한 것은 1921년(29세)부터이며, 처음에는 한시 창작으로 면모를 드러내어 ≪동아일보≫의 ‘금고시총(今古詩叢)’란에 <내장산 벽련암 內藏山碧蓮菴>(1924.9.4.)·<청명 淸明>(1924.9.12.) 등의 오언율시를 기고하였다.

한시를 짓던 그가 시조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1926년으로서 ≪계명 啓明≫ 제16호(1926.12.)에 게재된 <사모정 思母情>이 시조의 틀을 빌려 창작한 첫 작품이었고, 이어서 ≪청년 靑年≫·≪동광 東光≫·≪현대평론 現代評論≫·≪문예공론 文藝公論≫·≪배화 培花≫·≪삼천리 三千里≫·≪시온 詩蘊≫·≪신가정 新家庭≫·≪중앙 中央≫·≪불교 佛敎≫·≪동아일보≫ 등에 시조를 발표하였다.

이 시조집에는 이러한 신문·잡지에 발표한 내용을 중심으로 46편 312수가 수록되었다. “가을은 그가을이 바람불고 입‘드’는데/가신님 어이하여 돌오실줄 모르는가/‘살뜰’이 기르신아희 옷‘품’준줄 아소서.”(慈母思, 첫수), “계실젠 진주기생 떠러지니 나랏‘넉’이/남강물 푸른빗이 그제부터 더‘지터’라/오실제 길뭇지마소 ‘핏줄’절로 당긔리.”(晉州義妓祠迎送神曲, 첫수), “신시(神市)로 나린우로(雨露) 꼿‘점진’들 업슬소냐/왕검성(王儉城) 첫봄빗에 픠라시니 무궁화(無窮花)를/지금도 너곳 대(對)하면 그제런듯 하여라.”(槿花詞三疊, 첫수) 등에서 살필 수 있듯이, 정인보의 시조의 의미구조는 존상사상(尊上思想)·혈족이념(血族理念)·친족사상(親族思想)의 집약이었다.

그가 양명학자였듯이 인성(人性)에 기초한 양명학의 이상을 시조로 재현하려 하였던 면모로 살펴진다. 그러기에 그의 시조에서는 꽃 한 송이에도 이념이 깃들여 있었던 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 시조집은 고어와 고문체를 많이 사용하고, 자수(字數)와 구위(句位)를 고정하고 있으며, 주기(注記)가 빈번하여 예스러움의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를 가리켜 인습적이라는 평가도 자주 있어왔으나, 오히려 전통적 시조에 대한 보수적 의지로 긍정되어야 할 부문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담원정인보」(정양완, 『민족문화월보』 2, 1986.12.20.)
「담원정인보론」(홍효민, 『현대문학』 60, 1959.12.)
「정인보와 담원시조」(임선묵, 『근대시조집의 양상』, 단국대학교출판부, 1983)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