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건축학회 ()

대한건축학회 건축센터
대한건축학회 건축센터
건축
단체
건축에 관한 학문과 기술연구를 위하여 설립된 학술단체, 종합건축학술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건축에 관한 학문과 기술연구를 위하여 설립된 학술단체, 종합건축학술단체.
설립목적

건축에 관한 학술 · 예술 · 기술 연구, 건축교육의 발전, 및 건축문화 창달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45년 9월 서울에서 '조선건축기술단(朝鮮建築技術團)'이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다.

개설

주요사업으로 ①건축에 관한 조사 · 연구지도, ②회지, 논문집, 연구보고서 기타 건축에 관한 도서의 간행 및 건축정보화, ③건축에 관한 강습회 · 강연회 · 간담회 · 전람회 · 견학회 등의 개최, ④건축에 관한 계획 · 감독 및 기술검토에 대한 국가 공공기관 프로젝트 의뢰, ⑤건축교육의 선진적 실천, 교육내용 및 과정의 개발, ⑥건축교육의 선진적 실천, 교육내용 및 과정의 개발, ⑦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기업의 행정 · 재정 · 사업 관련 타당성 등의 조사 연구, ⑧건축관련 인증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1947년에는 기관지 《조선건축(朝鮮建築)》을 창간하였고, 1954년에 대한건축학회(大韓建築學會)로 학회명을 변경하였다. 1955년에는 대한건축학회지 [建築] 을 창간하였고, 1966년에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창립에 참여하여 회원단체로 가입하였다. 1985에는 창립40주년을 맞이하여 《建築》에서 논문집 《大韓建築學會論文集》을 분리하였다. 1994년에는 일본건축학회와 건축학술교류협정 체결하였고, 1995년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중국건축학회(ASC)와 건축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였다. 1999년에는 영문 논문집 Architectural Research를 창간하였고, 중화민국건축학회(AIROC)와 건축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였다.

2005년에는 창립 60주년을 맞이하여 '건축의 날'을 제정하였고, 2008년에는 《아시아 건축저널(JAABE)》이 SCIE 및 A&HCI에 등재되었다. 2012년에는 건축센터(서울 방배동 소재)를 준공하였다. 2017년에는 대한건축학회논문집이 한국연구재단(KCI) 우수학술지로 등재되었고, UIA 2017 Seoul World Architects Congress, UIAㆍFIKA를 서울시와 공동개최하였다. 같은 해 대한건축학회논문집(JAIK)이 Scopus에 등재되었다. 2025년에는 창립80주년기념 학술발표회를 개최하였다.

현황

건축문화발전에 기여한 회원 및 단체를 대상으로 학회상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건축정보화 분야를 개척하기 위해 '디지털 건축대전'도 개최하고 있다. 정기간행물로 학회지 《건축》, 논문집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영문 논문집 Architectural Research(AR), 《아시아건축저널(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JAABE)》 등을 발간하고 있다.

단행본으로 건축용어집, 건축공사표준시방서, 건축표준설계기준, 건축텍스트북 및 조사연구 보고서 등을 발행하고 있다. 정부, 공공기관 및 민간업체 등에서 의뢰하는 건축에 관한 각종 학술 및 기술의 연구 및 감정 등을 수행하고 있다.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건축센터에 있다.

참고문헌

대한건축학회(https://www.aik.or.kr)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