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목차
관련 정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본사(KOTRA) 및 별관(IKP)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본사(KOTRA) 및 별관(IKP)
경제
단체
무역진흥 등을 담당하기 위하여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에 설립된 정부투자기관.
이칭
이칭
코트라, KOTRA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무역진흥 등을 담당하기 위하여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에 설립된 정부투자기관.
연원 및 변천

흔히 코트라(KOTRA)로 약칭된다. 1962년 6월 「대한무역진흥공사법」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이 공사는 우리나라 무역진흥을 위한 공공서비스기관으로서, 업계의 해외시장진출을 선도, 지원하는 과정에서 무역의 양적 확대와 질적 발전을 뒷받침해 오고 있으며, 정부통상정책의 입안과 실천을 지원하고 있다.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과 전달, 해외시장 개척 및 거래 알선, 우리나라 상품의 해외전시 및 홍보 등 기본업무가 해외지향적인 특징이 있다. 1962년 뉴욕·홍콩·로스앤젤레스·방콕에 해외무역관을 동시에 설치하면서 발족한 이래, 우리나라 무역의 증진과 더불어 확대 개편되고 있다.

한편, 창립 당시 정부가 출자한 2억 원의 자본금이 1995년 현재 50억 원으로 증자되어 전액을 정부가 출자하였다. 설립의 공영성으로 인하여 공사의 이익과 사장의 이익이 상반되는 사항에서는 사장이 아닌 감사가 공사를 대표하도록 사장의 대표권을 제한하고 1960년대 우리나라 경제의 초기공업화과정에서부터 수출주도형 경제개발전략으로 결집되어, 1970년대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상당한 구실을 수행하였다.

특히, 근대 우리나라 무역의 초창기적 여건하에서 업계를 대신하여 해외시장의 개척활동에 주력하였다. 1970년대에 와서도 정부의 강력한 수출진흥정책과 발맞추어 수출정보센터 설치, 수출상품아이디어뱅크 운영, 수출시장 확대를 위한 국내외 조사 및 연구업무 추진 등으로 정부와 업계의 수요를 선도하였다.

특히, 1970년대 중반 이후 서울교역전의 주관, 해외상사와 지사를 활용한 순회세일즈 실시, 중화학·플랜트수출촉진활동 등 시장개척업무영역을 보강하는 한편, 동구권 시장의 조사 및 개척, 해외전시활동의 대형화 등으로 수출기반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 대형 무역상사의 해외지사망 확충과 자체시장개척능력의 성숙, 중소기업의 국제화를 위한 정책수요의 대두 등을 감안하여 중소기업 위주의 지원도 적극 추진하였다.

한편, 1982년 서울국제무역박람회를 최초로 개최한 성과를 바탕으로 1988년 서울올림픽대회의 개최와 발맞추어 격년으로 이 행사를 주관함으로써, 개방경제정책에 부응한 국내상품 및 산업의 홍보, 해외상품과의 비교전시를 통한 품질평가 등에도 큰 구실을 담당하였다.

1986년 이후 우리 경제의 흑자기조 정착과 더불어 대미·대유럽 흑자편중 및 대일역조 등으로 통상마찰이 심화되자, 이러한 국내외 여건변화에 대응하고자 통상마찰대응책 수립 및 대일무역불균형 개선사업에 주력하였으며, 1987년 12월 동유럽권에 무역관을 개설하는 등 대(對) 특수지역 교역확대를 통한 시장개척활동을 하였다.

이 밖에도 개발도상국의 무역개발 지원을 위한 해외협력사업을 추진하였으며, 기존의 정보수집전파기능을 강화하여 종합무역통신망을 구축하는 등 21세기 우리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종합무역진흥기관으로서 그 구실이 기대된다. 1995년 8월에 대한무역진흥공사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현황

1997년 12월 투자진흥본부를 신설하였으며, 이듬해 7월 투자진흥본부를 외국인투자센터(KZSC)로 확대 개편하고, 외국인 투자자원을 위한 one·stop service업무를 본격 개시하였다. 1999년 6월에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염곡동에 있는 종합무역투자센터를 준공, 사옥을 이전하였다. 2015년 현재 본사 5본부 20실 13센터, 해외 10개 지역본부 123개 무역관(83개국), 국내 5개 지원단 1개 사무소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연차보고서』(대한무역진흥공사, 1986)
『한국수출발자취 20년사』(대한무역진흥공사,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