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행수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한양과 개성 등의 시전(市廛) 도중(都中)의 우두머리.
목차
정의
조선시대 한양과 개성 등의 시전(市廛) 도중(都中)의 우두머리.
내용

조선시대 한양과 개성 등의 시전은 동업조합으로서 도중을 운영했는데, 도중을 대표하는 자를 대행수(大行首)로 불렀다. 대행수는 도중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지닌 자로서, 모든 명령과 상벌을 결정하였고, 시전 내부의 기강확립, 재화의 관리에 대한 최종 책임을 졌다.

대행수는 시전 조합원 중에서 나이가 많고 사무를 잘 아는 사람을 뽑았으며, 임기는 대체로 2개월이었지만, 시전에 따라 3개월이나 6개월인 경우도 있었다.

대행수의 선출은 호상(護喪)도행수와 담당 유사(有司)가 대행수에 적당한 10명을 천거하면, 이들 중에서 도원들의 권점(圈點)을 가장 많이 받은 후보가 선출되었다. 선거과정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추천된 후보의 친척들은 투표에서 배제하였고, 자천(自薦)하거나 개인적인 정리(情理)에 따라 투표한 자에 대해서도 처벌하였다.

육의전(六矣廛)의 하나였던 입전(立廛)의 경우 1845년 이전에는 대행수직의 연임이 가능했지만, 1845년 이후에는 맡은 일이 고되다는 이유로 연임을 불허하고, 대행수직을 수행한 지 10개월이 지난 다음에 다시 대행수직에 취임할 수 있도록 했다.

대행수 밑에는 대행수와 임기를 같이 하는 상공원(上公員), 하공원(下公員)이 있어서 도중의 사무를 담당하였다. 대행수와 상공원·하공원을 시전의 삼소임(三所任)으로 지칭하였다.

참고문헌

『지전입의(紙廛立議)』
『입전입의(立廛立議)』
『입정완의의의해석(立廛完議疑義解釋)』
『도자전완의(刀子廛完議)』
『입전좌목(立廛座目)』
『商業に關する調査書』
「조선후기 市廛의 구조와 기능」(고동환, 『역사와현실』44, 2002)
『조선후기 서울상업발달사연구』(고동환, 지식산업사, 1998)
「도중에 관한 연구-개성 선주전과 선상전을 중심으로-」(김병하, 『경영사학』18, 1993)
「서울 육의전연구-이조도시상업의 일고찰」(유교성, 『역사학보』 8, 1955)
「이조시대경성시제」(이능화, 『도엽박사환력기념만선사논총』, 1938)
「市廛攷」(鮎具房之進, 『雜攷, 姓氏攷及族制攷, 市廛攷』, 1937)
「ギルドとしての京城六矣廛」(黑正巖, 『經濟史論考』, 岩坡書店, 1923)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