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암서원 ()

목차
유적
전라남도 장성군 서삼면에 있었던 조선전기 서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장성군 서삼면에 있었던 조선전기 서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내용

1587년(선조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서릉(徐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48년(인조 26)에 중건하였으며, 1667년(현종 8)에 조영규(趙英圭) · 조정로(趙廷老), 1698년(숙종 24)에 최학령(崔鶴齡), 1758년(영조 34)에 정운룡(鄭雲龍) · 김우급(金友伋), 1788년(정조 12)에 박수량(朴守良)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된 뒤 복원하지 못하였다. 1909년에 김학수(金鶴洙) · 최범석(崔凡錫) 등이 서원터에 단비(壇碑)를 세웠다. 모암서원지는 1984년 2월 29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전고대방(典故大方)』
『장성군사』(장성군,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