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덕사 성전 ( )

목차
고대사
제도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관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관서.
내용

지금의 경주시 북천(北川)의 남안인 남천리(南川里)에 위치하였던 신라시대의 사찰인 봉덕사의 관리를 맡았다. 봉덕사는 원래 성덕왕이 증조인 태종무열왕의 추복(追福)을 위하여 건립을 시작하였으나 성덕왕이 죽자 효성왕이 아버지 성덕왕의 추복을 위하여 738년(효성왕 2)에 완성한 것이다.

여기에는 혜공왕 때에 완성된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이 안치되었으며 왕실의 원당(願堂)의 성격이 강하였다. 관원으로는 처음에는 금하신(衿荷臣)·상당(上堂)·적위(赤位) 각 1인과 청위(靑位) 2인, 사(史) 6인을 두었다.

경덕왕 18년(759)의 관제개혁 때에 봉덕사성전은 수영봉덕사사원(修營奉德寺使院)으로, 금하신은 검교사(檢校使)로, 상당은 부사(副使)로, 적위는 판관(判官)으로, 청위는 녹사(錄事)로, 사는 4명이 감축된 뒤 전(典)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776년(혜공왕 12)에는 다시 원상태로 복구되었다. 그뒤 애장왕대에 금하신은 영(令)으로, 상당은 경(卿)으로 개칭되었다. 각 관직에 해당하는 관계로는 금하신은 대아찬(大阿飡)에서 각간(角干)까지이고 상당은 나마(奈麻)에서 아찬까지이며, 청위는 사지(舍知)에서 나마까지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삼국유사』
「황룡사구층탑지의 연구-성전과 정법전문제를 중심으로-」(변선웅, 『국회도서관보』 10·10, 1973)
「신라중대 왕실사원의 관사적 기능」(이영호, 『한국사연구』 43, 1983)
「신라통일기 성전사원의 구조와 기능」(채상식, 『부산사학』 8, 1984)
「新羅の寺院成典と皇龍寺の歷史」(浜田耕策, 『學習院大學文學部硏究年報』 20,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