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사 일명암지 석등 (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부인사 일명암지 석등
대구 부인사 일명암지 석등
건축
유적
문화재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쌍화사(雙火舍) 석등. 문화재자료.
시도문화재자료
연계번호
3412200220000
지정기관
대구광역시
명칭
부인사일명암지석등
원어
夫人寺逸名庵址石燈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석등
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제22호
지정일
1990년 05월 15일
소재지
대구 동구 신무동 356번지
경도
128.672903302004
위도
35.9957308066008
웹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3412200220000
해제여부
N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쌍화사(雙火舍) 석등. 문화재자료.
내용

전체높이 287㎝, 하대석 1변 96㎝, 간주석(竿柱石) 높이 88㎝. 이 석등은 두 개의 화사부(火舍部 : 석등의 불 켜는 부분)를 구비한 우리 나라에서 하나밖에 없는 쌍화사(雙火舍) 석등이다.

이 석등의 세부적인 구도를 보면 하대석(下臺石)에서 방형으로 된 기대석의 사방으로는 한 측면에 두 개씩의 안상(眼象)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단형부등변연대(短形不等邊八角蓮臺) 받침 위에 십엽복판연판(十葉複瓣蓮瓣)을 각출하고 있고, 연대 위에는 3단의 간석(竿石) 밭침이 모각되었다.

간주석(竿柱石) 역시 단형부등변8각주로서 높지 않다. 상대석(上臺石)은 단형부등변8각평면으로 되었고, 그 밑부분에 3단의 밭침이 모각되었으며, 그 위로 중판단연화(重瓣單蓮花)를 배치하였는데, 각 연판내에는 3중판(三重瓣)의 화염문이 장식되어 있다.

화사석은 일반적인 석등의 구도에서 벗어난 편팔각 즉 장방형의 평면상에 두 개의 화사부를 구비한 14면체를 취하고, 옥개석(屋蓋石)은 우동(隅棟)이 뚜렷하며, 낙수면(落水面)의 굴곡은 심하게 반전되어 있다.

이 중에서 화사석의 구재는 경북대학교박물관에 보관되어 있고, 지금 화사석과 상륜부는 전문가의 고증을 받아 신재로서 짜맞춤하였다.

이 석등은 원래 팔공산 순환도로의 남쪽에 위치한 일명 금당암지(金堂庵址)에 흩어져 방치되었던 것을 회수하여 부인사 경내로 옮겼으며, 지금은 부인사 명부전 앞에 새워 놓았다. 이 석등의 조성시기는 신라 하대 즉 9세기 중엽의 양식으로 보여진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명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