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회귀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옳지 않다고 생각되는 어형을 바로잡는다는 생각에서 오히려 바른 어형까지 잘못 고치게 되는 현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옳지 않다고 생각되는 어형을 바로잡는다는 생각에서 오히려 바른 어형까지 잘못 고치게 되는 현상.
내용

주로 우월한 방언에 대하여 그렇지 못한 지역 및 사회방언의 사용자가 말을 고상하게 하려는 의도나 방언적·비속어적(卑俗語的)인 냄새가 있는 말을 지나치게 바로잡으려는 데서 비롯되는 현상이다.

국어의 남부방언에서 현저한 구개음화현상(口蓋音化現象)에서도 이의 예들을 찾을 수 있다. 가령 ‘짐승’의 옛말은 ‘쥬ᇰᄉᆡᆼ’(용비어천가 30장)이었는데, 이 말이 ‘즘ᄉᆡᆼ’(초간 두시언해 8 : 59)으로 변하고, 다시 ‘짐승’으로 바뀌었으니, 첫 음절은 ‘지’로 발음하는 것이 바른 발음이다. 그런데 남부방언에서는 흔히 ‘길’, ‘기름’과 같은 말을 ‘질’, ‘지름’이라 한다.

그러므로 ‘짐승’은 사투리 같은 느낌이 들게 되어 이것을 ‘김생’이라 하는 일이 흔히 있다. 서울말로 돌이키려다가 지나쳐버린 예이다. ‘김생’은 아직 표준말의 자리를 차지하지 못하였으나, 이리하여 변한 말이 때로는 표준말의 자리를 차지하고 본디부터 쓰이던 말을 사투리의 지위로 떨어뜨리는 일도 있다. ‘길쌈’의 옛말은 ‘질삼’(속삼강행실도, 연려실기술 2)이다.

그런데 예로부터 내려오던 ‘질쌈’은 사투리로 떨어지고, 잘못 돌이켜진 ‘길쌈’이 표준말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또한 새의 ‘깃’의 옛말은 ‘짗’(초간 두시언해 6 : 6)이었고, 배의 ‘키’의 옛말은 ‘치’(훈몽자회 중 : 25)이었는데, 지금 표준말은 ‘깃’, ‘키’가 되었으니, 이것도 모두 지나치게 고상한 발음을 하려는 데에서 빚어진 결과이다.

참고문헌

『방언학(方言學)』(이익섭, 민음사, 1984)
『언어학』(허웅, 샘문화사, 1981)
Historical Linguistics(T.Byn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